주택사업자 보증 사고액 급증…대위변제액 1년 만에 16.4% ‘폭증’

  • 뉴스1

코멘트

올해 7월말 기준 대위변제액 2233억…최근 5년치보다 많아
올해 보증사고액 2607억…작년 말보다 581억 늘어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9.5/뉴스1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9.5/뉴스1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사업자보증 사고가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1일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사업자 보증 상품별 실적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보증사고액은 2607억원으로 작년 말 2026억원보다 581억원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택금융공사가 부담하는 대위변제액(제3자 또는 이해관계자가 채무자 대신 채무를 갚고 채무자에 대한 채권자의 채권을 갖는 것)이 지난해 말 기준 136억원에서 올해 7월 말 기준 2233억원으로 무려 16.4배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5년(2020~2024년)간 대위변제액 총합 189억원의 12배에 달하는 규모로, 단 7개월 만에 5년 치를 훨씬 뛰어넘었다.

이처럼 보증사고와 대위변제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채권 회수 실적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간 채권 회수액이 46억원이었던 반면, 올해 들어 7월까지 회수한 금액은 154만원에 그쳤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지난 9월 7일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하며, 공적보증 공급 확대를 통해 주택 건설사업자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추 의원은 “건설 경기 불황으로 건설업 연체 대출이 늘어나는 등 주택사업자보증에 대한 사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공적보증을 주택 공급 확대책의 일환으로 활용만 하고, 보증사고 관리와 채권 회수 강화 등 구체적인 부실관리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그 부담은 오롯이 국민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