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푸틴 가는 中전승절 다음은, 트럼프-시진핑 올 경주 APEC

  • 동아일보

코멘트

동북아의 가을, 외교지형 격랑
북중러 정상 베이징 만남 뒤이어… APEC전후 美中 정상회담 가능성
경주에 김정은 초청 여부 주목… 연내 한중일 정상회의도 추진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될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 센터 전경. 뉴스1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될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 센터 전경.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 달 초 중국 전승절 행사에 참석하기로 하면서 교착 상태에 빠져 있던 동북아시아 정세에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이 한일·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일 공조 강화를 확인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10월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제안한 직후 북-중-러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게 된 것이다. 전승절에 이어 APEC 정상회의와 연내 추진되는 한일중 정상회의 등이 이어지는 만큼 동북아 안보 질서도 분수령을 맞을 수 있다.

● 북-중-러 회동 뒤 APEC 회의까지 안보 지형 변화

다음 달 중국 전승절을 시작으로 10월 경주 APEC 정상회의로 동북아 지역 내 정상 외교 일정이 분주해질 전망이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APEC 정상회의에 모두 초청했다. 정부는 중국이 내년 APEC 정상회의 의장국인 만큼 11년 만의 중국 최고 지도자 방한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에 참석해 북-중-러 정상들이 한자리에 모이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APEC을 계기로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도 더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북-중-러 정상이 한데 모여 밀착하면서 그동안 유럽과 중동 상황에 집중해 온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인 동북아 외교에 나설 수 있다는 것.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는 APEC을 계기로 미중 정상회담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APEC 정상회의 이후엔 연내 개최를 목표로 한일중 정상회의가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정부는 김 위원장의 APEC 초청도 논의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25일(현지 시간)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APEC 정상회의에 초청하면서 김 위원장과의 만남을 권유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매우 슬기로운 제안”이라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김한권 국립외교원 교수는 “과거 두 차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회담 사례에 비춰 본다면 북한도 중국과의 논의를 통해 혹시 있을지 모를 북-미 핵협상에 대해 준비해 나간다는 인상을 미 측에 던질 수 있다”고 말했다.

● “2018년과 데자뷔? 전략적 환경 달라” 지적

21일 경북 경주시청 곳곳에 APEC 2025 정상회의 조형물이 설치됐다. APEC 2025 정상회의 오는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경주 보문단지 일대에서 개최된다. 2025.8.21/뉴스1
21일 경북 경주시청 곳곳에 APEC 2025 정상회의 조형물이 설치됐다. APEC 2025 정상회의 오는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경주 보문단지 일대에서 개최된다. 2025.8.21/뉴스1
정부는 정보당국 등을 통해 김 위원장 전승절 참석 동향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APEC을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을 제안한 것이 김 위원장의 방중 정황을 미리 파악한 상황에서 나왔다는 것.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대통령실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정상회담도 이런 영향이 베이스(기본)로 깔린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강 실장은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과 대화를 해야겠다는 의지를 보여줬는데 공간과 방식에 대해 특정할 수 있는 시기는 전혀 아니다”라고 했다.

일각에선 북-미 충돌 위기에서 대화로 급격한 국면 전환이 이뤄졌던 2018년과 비슷한 정세가 다시 전개되는 것 아니냐는 낙관적인 기대도 나온다. 2018년 평창 올림픽에 대표단을 보낸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을 수락하자 같은 해 3월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첫 북-중 정상회담을 가진 데 이어 4월 남북 정상회담,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등 대형 외교 이벤트를 전후해 시 주석과 회담했다.

다만 정부 관계자는 “지금 북한은 러시아와 혈맹을 맺고 있고, 소원했던 북-중 관계를 되살리는 상황”이라며 “또 한국에 적대적인 두 국가 기조를 거듭 확인하고 있는 만큼 당시와는 전략적 환경이 판이하다”고 말했다.

#APEC 정상회의#중국 전승절#동북아 정세#한일중 정상회의#북-중-러 회동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