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임시공휴일 ‘27일’ 최종 확정…휴가 쓰면 최대 9일 쉰다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1월 14일 10시 04분


코멘트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안’ 국무회의 의결
‘31일 효과적’ 의견 나왔지만 27일 최종 지정

9일 서울 중구 모두투어 본사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직장인들은 31일에 연차를 사용하면 최대 9일간의 황금연휴를 누릴 수 있어 여행업계가 특수를 누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25.01.09 서울=뉴시스
9일 서울 중구 모두투어 본사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정부가 내수진작을 위해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서 직장인들은 31일에 연차를 사용하면 최대 9일간의 황금연휴를 누릴 수 있어 여행업계가 특수를 누릴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25.01.09 서울=뉴시스
설 연휴 전날인 오는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최종 확정됐다.

인사혁신처는 ‘1월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안’이 14일 국무회의에 상정·의결됐다고 밝혔다.

임시공휴일 지정은 정부나 여당 등이 건의하면 인사처가 검토해 국무회의에서 논의하는 절차로 진행된다. 앞서 당정은 설 연휴 기간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1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임시공휴일 지정을 두고 일각에서는 월요일인 27일이 아닌 금요일인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가중과 월말 업무를 마감해야 하는 근로자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그러나 월말 정산 마감이 31일인 회사의 경우 출근할 수도 있다는 점, 귀성길 교통 분산을 고려할 때 혼잡도가 덜하다는 점, 음식점 등 토요일에 일해야 하는 업종에 긴 휴식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정부는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최종 지정했다.

이에 따라 이번 설 연휴는 25일 토요일부터 30일 목요일까지 6일 간 쉴 수 있게 된다. 31일 금요일에 휴가를 쓴다면 이후 주말까지 최장 9일 간 쉴 수 있다.

인사처는 임시공휴일 확정을 위해 관보 공고 등 후속 조치에 착수했다.

또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인한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공서 민원실, 어린이집 운영 등에 대해 관계부처가 사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