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출산율 상승세 맞춰 돌봄 강화”

  • 동아일보

코멘트

작년 도내 인구 6455명 늘어나… 출생아 수 증가율 4.42%에 달해
24시 전담 어린이집 추가설치하고… 아파트 공동시설에 돌봄센터 조성
혼인-출산 장려 특공도 시행 예정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지난해 4월 인구정책 일환으로 충남형 돌봄 정책을 발표했다. 충남도 제공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지난해 4월 인구정책 일환으로 충남형 돌봄 정책을 발표했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올해 저출생 극복 등 ‘인구소멸’ 대응을 핵심 도정 방향으로 세웠다. 일시적인 반등을 넘어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해 인구감소 위기를 돌파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16일 충남도와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인구는 213만6574명으로, 2023년 213만119명과 비교해 6455명(0.3%)이 늘어났다. 도는 조직 개편을 통해 인구전략국을 신설한 데 이어 365일 24시간 돌봄, 전국 최초 공공부문 주 4일 출근제 시행, 공공임대주택 혼인·출산 장려 특별공급 등 파격적인 정책을 시행하면서 일부 효과를 얻어냈다.

주목할 점은 2023년 1만 명 밑으로 떨어지는 등 최저점을 기록했던 도내 출생아 수가 반등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1만10명으로, 전년 9586명 대비 424명 늘어나 4.42%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전국 평균 출생아 수 증가율 3.1%를 웃도는 수치다.

도는 2025년을 인구 회복의 대전환점으로 내다보고 인구 회복에 더욱 주력할 방침이다.

세부 실행 방안으로는 ‘아이를 낳으면 성인이 될 때까지 책임지는 충남 구현’을 목표로 추진중인 충남형 돌봄정책을 강화한다. 365일 24시간 전담 어린이집을 추가로 설치하고, 아파트 공동시설·종교시설·휴폐원 어린이집을 활용한 돌봄센터를 확대 조성한다.

또 도청 소재지인 내포신도시 인구 유입을 위해 국외로 이민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는 역 이민자 유치도 추진한다. 내포신도시 내 공실 아파트를 활용해 귀국 의사가 있는 재미동포를 유치하겠다는 것이다.

충남 15개 시군도 2025년을 새로운 미래를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삼고 인구 회복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청양군은 신혼부부와 청년 등 무주택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나서고, 연말까지 청년 셰어하우스 20호 공급, 귀농·귀촌자에 대한 전입 지원 강화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공주시는 올해부터 평일 야간·새벽과 휴일에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24시 전담어린이집을 운영한다. 논산시는 출산지원금을 지급하는 것에서 나아가 세분화된 지원금 정책을 마련해 인구 유입을 도모할 예정이다. 당진시와 계룡시는 일자리 창출을 통한 인구 유입을 위해 각각 드론 기업, 군수물자 생산업체 등을 유치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인구 감소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충남이 전국을 선도할 수 있게 인구대응 정책을 적극 마련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보다 효과적인 정책을 발굴·추진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충남도#출산율#상승세#돌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