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2조7000억 원 ‘역대 최대’
청년-중장년 등 전방위 맞춤 지원
서울시가 민생경제와 노동시장을 살리기 위해 일자리 41만 개 창출을 목표로 예산 2조7000억 원을 투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일자리 예산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시는 올해 직간접 일자리 제공에 예산을 집중 투입해 청년부터 중·장년, 취약계층까지 아우르는 전방위 일자리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사회·경제적 침체 장기화가 전망됨에 따라 민생의 어려움을 덜어주고 노동시장 안정화를 돕기 위한 특단의 조치다.
먼저 청년들이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한 일 경험과 직업훈련, 일자리 연계를 확대한다. 청년취업사관학교는 2021년 영등포·금천 캠퍼스 개소 이후 작년까지 총 20곳이 조성됐다. 올해 5곳이 추가로 조성돼 1자치구 1캠퍼스 체제가 완료된다. 이에 따라 연간 3000명 이상의 청년 IT·SW 개발자를 배출하게 될 예정이다.
장기적인 민간 일자리 위축에 대비해 실업자와 중·고령층 등을 위한 서울 동행 일자리도 1만2980명 규모로 추진한다. 중견·중소기업 퇴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경력진단, 직무 실무 교육, 1 대 1 컨설팅 등도 제공한다. 시 관계자는 “수요자 맞춤형 통합지원을 통해 이·전직 지원, 일자리 매칭 등 재기의 발판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폐업 후 취업을 원하는 소상공인에게는 직업훈련을 제공한다. 또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는 우수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서울형 강소기업’ 50개를 올해 신규로 선정할 방침이다. 서울형 강소기업에 선정되면 서울 거주 18∼39세 이하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 시 1인당 최대 1500만 원씩, 기업당 3명까지 총 4500만 원의 ‘근무환경개선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구직 희망자의 취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돕기 위해 일자리박람회도 활성화한다. 시는 3월 6일 ‘서울시 4050 중장년 취업박람회’를 열고 구인 기업-구직자 간 현장 면접을 진행하고 30개 기업의 채용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11월에는 민간기업과 함께 ‘청년 IT 일자리 박람회’를 개최해 청년 개발자 네트워크의 장을 제공하고 첨단 기술기업 취업 연계도 지원한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