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새벽배송’ 종사자, 94%가 아파도 일해…65% “휴식 불가능”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1-17 11:21
2025년 1월 17일 11시 21분
입력
2025-01-17 11:20
2025년 1월 17일 11시 20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새벽배송 종사자 1021명 조사
85% “화장실 이용 어려워”
쿠팡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14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직후 로켓배송 서비스 중단 가능성을 밝혔다. 17일 서울 시내의 한 쿠팡 물류센터에 주차된 차량 모습. 2024.06.17 뉴시스
‘쿠팡 로켓배송’ 종사자가 과로로 숨지는 등 심야택배 업무 환경이 도마 위에 오른 가운데, 새벽배송 종사자들 중 94%가 아파도 일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85%는 화장실도 이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안호영, 김주영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들과 ‘디지털 자본주의 시대 일의 변화와 사회안전망 연구팀’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새벽배송 플랫폼 노동 국회토론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토론회 주최진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서비스연맹 택배노조,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택배산업본부 등은 지난해 10월 1021명의 심야 택배업무 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68%가 주 5일 이상 새벽 근무를 한다고 답했고 31.4%는 일주일에 6일 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배송 건수는 77건으로 집계됐다.
52%는 새벽배송 소득에 100%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업으로 삼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셈이다.
또 이들이 이용하는 플랫폼으론 쿠팡이 69.2%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새벽배송 종사자들은 휴식 및 화장실 이용도 녹록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65%는 휴식이 가능하지 않다고 답했고 85%는 화장실 이용이 용이하지 않다고 했다. 쉬지 못한 이유의 경우 물량(38.8%), 시간 압박(27.72%), 쉴 장소 없음(24.9%) 순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은 차량 내부(57.39%), 화장실 및 벤치(8.8%) 등에서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지난 한 달 동안 건강 이상을 경험한 비율이 절반을 넘는 58%에 달했으며 이들 중 94%가 ‘아파도 일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46.9%가 산재 등 부당한 일이 발생했을 때 어디에 도움을 요청할지 모르거나 가족 및 동료 등을 통해 ‘비공식적’으로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보험에 가입한 비율은 47.7%로, 임금노동자의 가입 비율(한국노동패널 조사)인 79.5%에 비해 낮았다.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두고 이날 발제를 맡은 이승윤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건강권 보호와 휴식권 보장이 필요하고 사회적 안전망도 강화돼야 한다”며 “이들이 권익 보호를 위한 조직화 지원도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법무부, ‘서울의봄’ 김오랑 중령 손배소송 항소 포기
“엔비디아 없어도 돼”…中 AI반도체 생산 3배로 늘린다
건설현장 지적사항 5372건 발견…10대 건설사도 213건, 대우건설 최다 적발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