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AI-양자 기술 발명자 지도 만든다

  • 동아일보

코멘트

새해 주요 업무 추진 계획 발표
특허 데이터 6억 건 활용해 구축

올해부터 양자 기술, 인공지능(AI) 분야의 발명자 정보 등이 담긴 ‘글로벌 발명자 지도’가 구축된다. 발명자 지도는 연구자, 공동연구 동향, 특허 성과 등을 분석하고 관계 부처에 제공돼 국가 연구개발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특허청은 21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새해 주요 업무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첨단 기술 정보가 담긴 특허 빅데이터 6억 건을 활용해 200개 첨단 기술 분야 연구 개발 과제에 대한 특허 동향 심층 분석을 시행한다. 양자 기술과 AI 분야 발명자 정보를 활용한 글로벌 발명자 지도를 마련한다.

해외 기술 유출 위험 영역을 미리 탐색하고 경찰 등 수사기관에 기술 자문을 지원한다. 지식재산 데이터를 산업 무역 등 다른 분야 데이터와 연계 분석하는 플랫폼 구축도 본격화한다. 심사 분야에서는 다음 달까지 바이오, AI, 첨단 로봇 분야와 탄소중립 분야를 우선심사 대상으로 지정한다. 민간 전문가 60명을 첨단 분야 전반에 걸친 특허 심사관으로 채용한다. 인력과 제도 개선을 통해 특허심사 처리 기간을 15개월대로, 상표심사 처리 기간은 12개월대로 단축할 방침이다.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 금융 규모 12조 원 달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금융위원회와 함께 1000억 원 규모의 공동 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3월에는 위조 상품 유통 경로 다변화에 대응해 AI 기술을 활용한 온라인 위조 상품 상시 모니터링을 도입한다. 적발된 유통 행위는 상표특별사법경찰의 기획 수사로 연계한다. 100개 수출 초기 기업을 대상으로 해외 지식재산 분쟁 위험을 사전 분석하고, 위험 해소 전략까지 지원한다. 해외지식재산센터의 전담 인력을 늘리고 지재권 중점공관(25개), KOTRA 해외무역관(129개)과의 협력도 강화한다. 김완기 청장은 “지난해 국내 특허 출원은 역대 가장 많은 24만6000건을 기록했다. 특허 빅데이터와 전문성을 활용해 기술 경쟁력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겠다”고 했다.

#특허청#AI-양자 기술#발명자#지도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