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 55.2% “취업만 되면 어디든지”…점점 힘들어지는 구직 시장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2월 3일 10시 35분


코멘트
사람인 제공.
사람인 제공.
구직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신입 취준생(취업준비생)들이 ‘어떤 기업을 갈 것인가’가 아닌 ‘우선 합격하는 곳에 다니겠다’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신입 취준생 464명을 대상으로 ‘올해 취업 목표’를 조사한 결과, 기업 형태의 경우 과반인 55.2%가 ‘취업만 되면 어디든 관계없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중소기업·스타트업’(15.1%), ‘중견기업’(12.1%), ‘공기업·공공기관’(8.4%), ‘대기업’(7.3%), ‘외국계 기업’(1.9%) 순이었다.

기업 형태와 관계없이 취업하고 싶은 이유는 단연 ‘빨리 취업해야 해서’(55.1%,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길어지는 구직활동에 지쳐서’(39.1%), ‘남들보다 스펙 등 강점이 부족해서’(31.3%), ‘경기가 좋지 않아 채용이 줄어들어서’(28.5%), ‘목표 기업에 들어가기 힘들 것 같아서’(12.9%), ‘기업 형태보다 다른 조건이 더 중요해서’(10.5%), ‘일단 취업 후 이직할 계획이라서’(10.5%)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목표 기업을 정한 취준생들(208명)의 경우, 기업을 고를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기준은 ‘연봉’(24%)이 1위였다. 뒤이어서 ‘워라밸 보장 여부’(14.4%), ‘복리후생’(13.9%), ‘개인 커리어 발전 가능성’(12%), ‘정년 보장 등 안정성’(10.6%), ‘조직문화, 분위기’(9.6%), ‘근무지 위치’(6.3%) 등의 답변 순이었다.

전체 취준생들이 올해 목표로 하는 연봉은 성과급을 제외한 기본급 기준 평균 3394만 원으로 집계됐다. 구간별로는 ‘2500만 원 이상~3000만 원 미만’(36.2%), ‘3000만 원 이상~3500만 원 미만’(30.8%), ‘3500만 원 이상~4000만 원 미만’(17.2%), ‘4000만 원 이상~4500만 원 미만’(6.9%), ‘4500만 원 이상~5000만 원 미만’(4.1%) 순이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 10명 중 4명(37.3%)은 목표 기업에 입사하더라도 이직을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평균 1.8년 근무 후 이직을 준비할 것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1년~1년 6개월 미만’(19.7%), ‘2년 6개월~3년 미만’(19.7%), ‘2년~2년 6개월 미만’(15%), ‘6개월~1년 미만’(13.3%), ‘1년 6개월~2년 미만’(12.7%), ‘6개월 미만’(9.8%), ‘3년 이상’(9.8%) 순으로, 대다수인 90.2%가 3년 미만 근무 후 이직을 준비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취준생#구직시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