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중 7명 “올해 이직 계획”…대리급이 가장 적극적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2월 6일 11시 01분


코멘트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5.01.02. 뉴시스
서울 종로구 광화문네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고 있다. 2025.01.02. 뉴시스
직장인 10명 중 7명은 올해 이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6일 직장인 1467명을 대상으로 ‘이직 계획’을 조사한 결과, 70.1%가 올해 이직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직급별로는 대리급(76.2%)이 이직 계획이 있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부장급(71.4%), 과장급(70.4%), 사원급(68.2%), 임원급(56.6%)의 순으로 이직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이직하려는 이유는 △더 많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56%, 복수 응답)라는 답변이 1위였다. 다음으로 △ 회사의 비전이 없고 성장이 정체돼서(41.4%) △ 업무 역량의 성장을 기대할 수 없어서(31.3%) 등 커리어 성장에 대한 불만도 이직하고자 하는 이유 상위권에 포함됐다.

△ 복지제도가 미흡해서(26%) △ 고용 안정성이 낮아서(19.3%) △ 직무, 업종 변경 등을 생각하고 있어서(15.9%) △ 야근, 휴일 근무가 잦아 워라밸이 없어서(15%) △ 상사, 동료 등 인간관계 갈등이 커서(14.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이직을 하고자 하는 이유는 직급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다. 사원, 대리, 과장급은 ‘더 많은 급여를 받기 위해서’(각 60.7%, 69.3%, 58.3%, 복수 응답), ‘회사의 비전이 없고 성장이 정체돼서’(각 38.7%, 45.9%, 39.8%)가 나란히 1, 2위였다. 그러나 부장급과 임원급은 ‘회사의 비전이 없고 성장이 정체돼서’가 (각 45.1%, 35.7%)로 1위였다. 또, ‘고용 안정성이 낮아서’라는 응답이 3위(각 26.9%, 28.6%)로 다른 직급보다 상대적으로 상위에 들었다.

이직할 때 직무와 업종을 유지할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30.7%만이 ‘직무, 업종 모두 유지할 것’이라고 답했다. 27.6%는 직무만, 17.2%는 업종만 유지한다고 응답했다. 24.5%는 직무, 업종을 모두 바꿀 것이라고 밝혀, 큰 변화에 도전하려는 이들도 적지 않은 모습이었다.

그러나 올해 이직을 계획한 직장인 10명 중 4명(35.2%)은 ‘이직에 성공할 자신감이 없다’고 답했다. 직급별로는 부장급(39%), 과장급(37.5%), 사원급(34.5%), 대리급(33%), 임원급(25%) 순이었다. 이들이 이직에 자신감이 없는 이유는 ‘경기 침체가 이어질 것 같아서’(61.6%, 복수 응답)가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 ‘실제 입사 지원할 만한 채용이 적을 것 같아서’(58%), ‘채용 과정에서 어필할 만한 커리어 스펙이 부족해서’(37.6%), ‘경쟁자들의 실력이 상향 평준화되고 있어서’(23.8%), ‘국제 정세 등 불확실성이 커서’(16%) 등의 순이었다.

한편, 올해 이직할 생각이 없는 직장인들(439명)은 그 이유로 △ 경기가 안 좋고 불확실성이 커서(49.7%, 복수 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밖에 △ 현재 회사에서 경력을 더 쌓기 위해서(27.6%) △ 현재 회사의 조건(처우, 워라밸 등)이 마음에 들어서(23%) △ 현재 회사에서 인정받고 있어서(22.6%) △ 기업들의 채용 공고가 별로 없어서(17.5%) △ 현재 회사가 정년이 보장돼 최대한 오래 다니기 위해서(16.2%) 등의 답변이 있었다.

#직장인#이직 계획#이직 이유#급여#회사 비전#커리어 성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