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반도체 특별법’ 추진을 두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정부·여당을 향해 “시대를 잘못 읽고 있다”고 날 선 비판을 했다. 반도체 특별법(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및 혁신 성장을 위한 특별법안)은 반도체 연구·개발 분야 인력에 대해서는 주 52시간 근무제 적용을 예외로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정부와 국민의힘은 4일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를 열어 이달 중 반도체 특별법 특례를 처리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표도 최근 반도체특별법 정책토론회에서 ‘주 52시간 예외 적용’에 긍정적인 발언을 하자, 김 지사가 적극적으로 반대의견을 낸 것으로 풀이된다.
김 지사는 최근 자신의 SNS에 “AI 기술 진보 시대에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반도체 경쟁력 확보의 본질입니까”라고 물으며 “다른 데 시간 허비하지 말고 인프라 확충과 용전·용수 문제 해결 방안부터 빨리 논의하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금 대한민국 반도체 주권을 지키기 위한 핵심은 재정을 포함한 과감한 지원, 전력과 용수 문제 해결, 반도체 인프라 확충”이라며 “반도체 산업 현장에서 현행 근로기준법의 예외 제도를 활용하기 어려운 실제적인 사유가 있다면, 현행 제도를 수정·보완하면 된다”고 주장했다.
실제 경기도는 용인에 SK하이닉스 반도체 클러스터와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건립이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력·용수 등의 문제가 번번이 발목을 잡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