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5세 이상 고령 운전자가 받는 운전면허 갱신 적성검사에 가상현실(VR) 평가가 도입된다. 고령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브레이크로 착각하는 등의 오조작을 막기 위한 장치 기준도 마련된다. 지난해 7월 총 9명의 사망자를 낸 ‘시청역 역주행 참사’ 같은 사고를 막기 위해서다.
12일 행정안전부와 경찰청 등 관계부처는 ‘2025년 국가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실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연말까지 고령 운전자가 운전면허 정기 적성검사(면허 갱신)를 받을 때 운전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자가진단 시스템을 시범 도입한다. 실제 도로와 유사한 VR 평가에서 돌발상황 대처 정도를 평가하는 식이다. 운전능력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확인된 고령운전자에게는 면허 자진 반납 유도 등 컨설팅을 제공할 방침이다. 고령자는 3년마다 면허를 갱신해야한다. 하지만 치매 검사만 통과하면 최하인 5등급을 받더라도 면허를 유지할 수 있다는 비판이 일자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고령 운전자 안전을 위한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기준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할 방침이다. 시청역 역주행 가해 운전자 차모 씨(69)가 페달 오조작으로 사고를 낸 것에 대한 조치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