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 유해 신원 2명 확인…예비검속 주민·9연대 군인

  • 뉴시스(신문)

코멘트
ⓒ뉴시스
4·3사건으로 제주국제공항(당시 정뜨르비행장)에서 희생된 유해의 신원이 확인됐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유해발굴 및 유전자감식 사업을 통해 제주4·3 행방불명 2명의 신원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확인된 희생자는 2007년 제주공항 부지에서 발굴한 김희숙(당시 29세)씨, 2008년에 제주공항 부지에서 발굴된 강정호(당시 22세)씨다.

김씨는 당시 한림면 저지리출신으로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예비검속으로 잡혀갔다가 희생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강씨는 성산면 오조리 출신으로 1948년 당시 9연대소속 군인으로 알려졌다. 희생과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희생자 신원은 지난해 유가족의 유전자 검사 참여로 확인됐다. 김씨는 손자 채혈이, 강씨는 조카 채혈이 신원 확인의 결정적 단서가 됐다.

이번에 신원이 확인된 4·3희생자 2명에 대한 결과보고회는 24일 오후 2시 제주4·3평화공원 4·3평화교육센터 대강당에서 열린다.

제주도와 제주4·3평화재단은 희생자들의 신원을 찾기 위해 올해도 유해발굴과 유전자 감식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희생자 신원을 찾기 위한 유가족 채혈은 지금까지 1291명이 참여했다.

유전자 감식은 서울대 법의학연구실에서 종전 염기서열반복구간(STR) 방식에서 향상된 단일염기서열다양성(SNP)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STR 방식은 친부모·자녀 관계만 판별이 가능한데 비해 SNP방식은 STR보다 식별률이 2.5배에 달하고 방계 6촌까지 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4·3희생자 유해발굴은 2006년 제주시 화북동 화북천 11구를 시작으로 이뤄졌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제주국제공항 388구, 2010년부터 2021년까지 표선면 가시리 등 9개소 12구, 2023년 안덕면 동광리 2구, 2024년 애월읍 봉성리 4구 등 모두 417구의 유해를 발굴했다.

발굴 유해 가운데 대전 골령골 등 제주도 이외 2명을 포함해 이번까지 모두 147명의 신원을 확인했다.

현행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는 제주4·3을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규정돼 있다.

[제주=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