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건강·요양·돌봄·주거 5개 분야
올해 4개구서 통합돌봄센터 시범운영
앞으로 돌봄이 필요한 서울 시민은 단 한 번의 신청으로 필요한 돌봄을 통합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돌봄이 필요한 본인 또는 보호자가 가까운 동주민센터에 신청하면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 돌봄을 제공하는 ‘서울형 통합돌봄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신청 대상 서비스는 방문 진료와 병원 동행, 식사 배달, 방문간호 등과 같이 긴급 지원이 필요한 서비스부터 신체 및 마음 건강 관리 등 일상 지원 서비스까지다.
시는 올해 4개 자치구에 통합돌봄센터를 시범 설치·운영한 뒤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이 시행되는 내년 3월에 맞춰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서비스별 신청·접수 기관이 각각 다르고 신청 절차가 복잡해 어떤 서비스가 제공되는지 몰라 제때 지원을 받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라며 “이에 신청 한 번으로 대상자와 심층 상담을 통해 통합돌봄계획서를 수립하고 지원을 하기로 했다”라고 설명했다.
통합 돌봄은 보건의료, 건강, 요양, 돌봄, 주거 등 크게 다섯 가지 분야다. 먼저 거동이 불편해 병원을 찾기 힘든 환자와 장기요양 수급자를 대상으로 의사·한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이 직접 집을 찾아가 진찰·처방하는 ‘방문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요양병원이나 급성기 환자 중 퇴원을 앞둔 시민들의 사후관리와 지역사회로의 복귀도 지원한다.
신체 및 마음 건강 돌봄을 위해 동행센터 방문간호사가 정기방문해 건강을 살핀다. 또 건강 교실과 소모임 등 프로그램을 만들어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건강 장수 공동체도 조성한다.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에게는 방문목욕과 간호 등 장기요양서비스를 제공한다. 간호사·물리치료사·사회복지사 등이 팀을 이뤄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재가서비스, 병원 방문과 일반적인 외출 등 이동지원서비스도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또 돌봄SOS를 통해 단기 시설 입소, 식사 배달 등의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거안심종합센터를 통해 1인 가구 주택 관리 서비스, 노인 주택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윤종장 서울시 복지실장은 “서울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현실에서 향후 노인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의 돌봄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라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통합돌봄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하고 가동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시민이 살던 곳에서 건강하게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