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은 입지선정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경남우주항공국가산단을 신청사 건립 최종 입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경남우주항공국가산단 내 신청사 입지. 사천시 제공
“신청사 건립 부지가 확정된 만큼 세계 5대 우주 강국을 목표로 다시 한번 힘을 합쳐야 할 때다.”(박동식 경남 사천시장)
“이제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과 함께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박완수 경남도지사)
우리나라 우주항공산업의 ‘랜드마크’가 될 우주항공청 신청사 입지가 경남 사천시 경남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로 25일 최종 선정된 후 경남 지역 정치권과 시민들은 크게 환영하고 있다. 지난해 개청 후 인근 정주여건 및 각종 업무 지원시설 부족 등으로 한계가 뚜렷했던 임시 청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다 국가 항공우주 정책의 안정적 추진을 뒷받침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 경남우주항공국가산단에 신청사 건립
우주항공청은 올해부터 본격적인 신청사 이전 절차를 밟는다. 내년부터 2년간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2027년 신청사 건립 착공에 들어갈 계획이다. 예정대로 행정 절차 및 공사가 진행될 경우 2030년 신청사 이전을 마칠 수 있게 된다. 청사 부지는 6만9000㎡(2만여 평)로 업무공간과 함께 우주위험국민안전센터, 위성영상활용센터, 우주발사체종합상황실, 국제회의장 등 우주항공 임무수행 기반 시설과 전시 공간 등으로 구성된다. 우주항공청은 올해 1단계 부지 매입 때 청사 부지와 산학연 집적화를 위한 부지까지 총 21만㎡를 매입할 계획이다.
사천 지역에선 “대한민국 우주항공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가 될 것”이라며 이번 결정을 크게 환영하고 있다. 사천시민 김한울 씨(34)는 “신청사가 들어서면 사천은 명실상부한 우주항공 중심지로 도약할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크다”라고 말했다.
● “우주항공 생태계 조성 위한 특별법 필요”
우주항공청이 대한민국 우주항공산업의 도약을 뒷받침하는 컨트롤타워가 되기 위해선 신청사를 중심으로 △연구개발 △인재양성 △기업 육성이 유기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천시 관계자는 “신청사 건립은 단순히 한 정부기관의 청사 건립이라는 의미를 넘어 국가 우주항공 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전환점이 란 의미를 갖는다”라며 “산학연 집적화를 위해 우주항공청과 지역사회 간의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법 입법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온다. 경남도와 사천시는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우주항공 분야 연구기관·기업, 교육기관이 입주하고 쾌적한 정주 여건과 자족 기능까지 갖춘 우주항공복합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행정력을 모으고 있다. 22대 국회 개원과 동시에 서천호(국민의힘·사천남해하동) 박대출(국민의힘·진주갑) 의원은 우주항공청 소재지와 그 주변 지역에 우주항공복합도시를 조성하는 특별법안을 각각 발의했지만 심사 일정 지연으로 상임위원회에 표류 중이다. 박 지사는 “경남은 보잉, 에어버스 같은 글로벌 기업의 연구개발(R&D) 기능을 유치하고 사천에어쇼를 세계적인 항공우주 산업전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올해 우주항공복합도시 특별법 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