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역사서, ‘쌍성보 전투’를 자신들의 승리로 왜곡”

  • 동아일보

코멘트

1935년 발행한 60년 기록 역사서
한국독립군, 쌍성 점령해 승리했으나
일제, 탈환 후 이겼다며 멋대로 기록
독립운동가 조경한 선생의 외손자… 3·1절 앞두고 일제 역사 왜곡 공개

심정섭 씨가 26일 메이지 유신(1868년) 이후 일본의 정치, 외교, 군사, 학예, 세상 이야기를 적은 일본발흥비사에서 왜곡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심정섭 씨가 26일 메이지 유신(1868년) 이후 일본의 정치, 외교, 군사, 학예, 세상 이야기를 적은 일본발흥비사에서 왜곡된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1930년대에 발행된 일본의 한 역사서가 쌍성보 전투에서의 대한독립군 승전을 왜곡해 기술했다는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 전투는 독립군이 이겼지만 일본은 마치 자신들이 이긴 것처럼 기록했다.

향토사학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백강 조경한 선생의 외손인 심정섭 씨(82·광주 북구)는 26일 광복 80주년 3·1절을 앞두고 일본발흥비사(日本勃興秘史)라는 역사서 내용을 공개했다. 이 역사서는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60여 년간 이야기를 담은 것으로 1935년 일본 일원사가 발행했고 1153쪽 분량이다. 저자는 일본 소설가인 삼각관(三角寬)이다.

책에 실린 축하 글은 제3, 5대 조선 총독과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사이토 마코토 등 일제 각료들이 썼다. 축하 화보에는 메이지 천황이 일본 고베시에서 도쿄로 이동하는 사진 등이 실렸다.

심 씨가 이 역사서를 분석한 결과, 일본 근대화가 시작된 1868년 메이지 유신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60여 년간 일본의 정치, 외교, 군사, 사회 전반이 담겼다. 특히 군사 부문에는 일제가 쌍성보(雙城堡) 전투를 장렬하고 과감하게 싸워 이겼다고 자평했다.

쌍성보 전투는 1932년 9월 20일, 11월 17일 한국독립군이 중국국민당 계열 중국의용군과 공동으로 일제와 만주군을 상대로 싸운 것이다. 독립운동가 지청천 장군(1888∼1957), 조경한 선생(1900∼1993) 등이 참여한 한국독립군은 중국 하얼빈 서남방 도시인 쌍성보를 공격해 점령했으나 일본군의 대대적 공세에 철수했다.

백강 조경한 선생은 쌍성보 전투 승리를 담은 시와 기록을 백강시집, 백강회고록에 적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백강 조경한 선생은 쌍성보 전투 승리를 담은 시와 기록을 백강시집, 백강회고록에 적었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당시 조경한 선생은 쌍성보를 쳐서 점령할 때 한시 공점쌍성보(攻拈雙城堡)를 남겼다. 이 시는 ‘달 밝은 추석 밤에. 웅대한 쌍성을 쳐서 점령했네. 왜군과 만주군이 서쪽으로 도망가니. 벌판 곡식 사이에 피비린 가을바람만 불어온다’는 내용이다.

역사서는 봉오동, 청산리 전투 등 한국 항일무장투쟁사 2개 대첩은 놔두고 유독 쌍성보 전투를 언급했다. 쌍성보는 창춘과 하얼빈을 연결하는 지린·헤이룽장성의 요충지였다. 쌍성보 전투는 한중이 일제에 항전하는 공동전선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심 씨는 일제가 이런 의미를 감안해 자신들이 승리한 전투라고 왜곡, 기술한 것으로 추정했다.

장세윤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쌍성보 전투는 한국독립군이 하얼빈 서남쪽 큰 도시인 쌍성을 점령해 사실상 큰 승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며 “일제는 쌍성을 빼앗겼다가 탈환해 승리했다고 주장하는 아전인수식 평가를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해당 역사서는 경술국치에 대해 1909년 12월 친일 매국단체 일진회 회장 이용구가 회원 2000만 명의 대표로서 한일합방 건의서를 통감부에 제출해 이뤄졌다고 왜곡했다. 이어 매국노 이완용은 당시 대한제국 수상으로 한일 강제병합에 협조했는데, 독립운동가 이재명에게 암살당할 뻔했다가 모면했다고 적었다.

또 이토 히로부미에 대해선 ‘청일전쟁, 러일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조선을 보호국으로 만들었다’고 왜곡했다. ‘국제적 외교 감각을 활용해 러시아의 남진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하얼빈으로 갔다가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의사에게 저격됐다’고도 했다. 역사서는 ‘국보 이토 사망’이라고 애도했다.

저자는 조선 정책의 실패 사례로 1895년 10월 8일 대한제국 궁궐에 들어가서 명성황후를 시해한 것을 들었다. 그러면서 ‘경술국치를 (통해) 조선이 인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손에 돌아왔다’고 왜곡했다.

심 씨는 “저자가 경술국치를 왜곡한 것을 보면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실패한 정책으로 적은 것은 지성인의 양심보다는 악어의 눈물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해당 역사서는 제국주의로 달려가는 60여 년 궤적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쌍성보 전투#대한독립군#일본 역사서#왜곡#백강 시집#백강 회고록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