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64.1%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연령 상향 찬성”

  • 뉴스1

코멘트

“취약계층 교통바우처 병행 필요” 목소리도

무임승차제도 조사결과 분석.(서울시의회 제공)
무임승차제도 조사결과 분석.(서울시의회 제공)
서울시민 10명 중 6명 이상이 지하철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위드리서치가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비례)의 의뢰로 지난해 12월 11일부터 15일까지 서울시민 11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64.1%가 무임승차 연령 상향에 찬성했다. 반대 의견은 17.1%, 모르겠다는 응답은 18.8%였다.

무임승차 연령 상향을 찬성하는 주된 이유로는 청년 세대의 세금 부담 우려(38.7%)와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37.0%)가 꼽혔다. 반면, 반대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의 교통비 부담(57.8%)과 세대 간 갈등 우려(21.3%)가 제시됐다.

서울시민의 76.6%는 노인 무임승차제도가 지하철 적자에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구체적으로 고령화 시대에 맞춰 나이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41.9%), 노인 기준을 높이면 재정 적자를 줄여 더 필요한 곳에 예산을 활용할 수 있다(27.0%)는 의견이 많았다.

반면 23.4%는 무임승차가 적자의 주요 원인이 아니라고 답했다. 그 이유로 정부 및 지자체 지원 부족(38.3%)과 노인 이용 비율이 높지 않다(32.3%)가 언급됐다.

또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45.2%가 노인의 기준 연령을 ‘만 70세 이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65세 이상’이라는 응답은 24.0%, ‘만 75세 이상’이라는 응답은 17.7%였다.

특히 찬성 응답자의 76.1%는 무임승차 연령을 70세로 조정하는 방안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제도 개선 대안으로는 취약계층(저소득층·장애인) 대상 바우처 제공(64.2%)이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출퇴근 시간대 무임승차 제한(60.8%)이 뒤를 이었다. 반면, 무임할인율을 100%에서 50%로 조정하는 방안은 찬성률이 44.2%로 가장 낮았다.

윤영희 서울시의원은 “우리 사회는 100세 시대에 접어들었으며, 노인 기준 연령과 복지 정책도 이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조사 결과는 단순한 정책 변경이 아니라,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개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한 정교한 정책 대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다음달 5일 ‘도시철도 노인 무임승차 현황 및 개선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정책 개선 방향을 논의할 계획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