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립암센터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국가암검진 6대 암 검진 여부에 대한 ‘권고안 이행 수검률’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작년 수검률이 70.2%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4년부터 매년 진행된 암 검진 수검률 조사 중 가장 높은 수치다. 2023년에 비해서도 3.8%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2004년 38.8%와 비교했을 땐 무려 31.4%p 증가했다.
암 종별로는 위암이 77.4%로 가장 높은 수검률을 나타냈다. 이어 대장암 74.4%, 유방암 70.6%, 자궁경부암 62.0% 순이었다.
암 검진 대상자가 검진받지 않은 이유에 대한 조사에선 ‘건강하다고 생각해서’란 응답자 비율이 4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17.4%) ‘검사 과정이 힘들어서’(16.7%)가 주요 이유로 꼽혔다.
이번 조사에서 대장암 검진 수검률은 전년도 70.7%에서 74.4%로 상승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장암 검진을 위해 어떤 검사방법을 선호하느냐’는 질문엔 대장내시경 검사 66.2%, 분별 잠혈검사 33.8%로 답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우리 국민의 암 검진 참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조기암 발견이 늘어나고, 그로 인해 생존율도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게 암센터의 설명이다.
서민아 국립암센터 암검진사업부장은 “암은 초기엔 별다른 증상이 없으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기 위해 정기적 검진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양한광 국립암센터 원장도 “우리나라 암 발생 통계에 따르면 위암, 대장암, 유방암 등 검진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암종은 조기 발견이 꾸준히 증가해 전체 암 발생 가운데 위암은 70%, 대장암은 55%, 유방암은 65%가 국한 암(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단계에서 발견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이들 암종은 발생률 대비 사망률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