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쓰레기에 걸려 목숨 잃을 뻔”… 해양 오염 현장을 담다

  • 동아일보

코멘트

그린피스, 국회서 다큐멘터리 상영
한국 해녀-호주 수중사진작가 등
해양 파괴 경험한 7명 증언 담아
정부, 13일 ‘공해 보호 조약’ 비준

다큐멘터리 ‘씨그널’에 출연한 해녀 이유정 씨. 그린피스 제공
다큐멘터리 ‘씨그널’에 출연한 해녀 이유정 씨. 그린피스 제공
제주에서 6년째 해녀를 하는 이유정 씨는 몇 년 전 먼 바다에서 소라를 캐던 때를 떠올리면 아직도 아찔하다. 곡괭이로 소라를 긁어내며 다리를 첨벙대다 발이 그물에 걸렸다. 이 씨가 발버둥 칠수록 그물은 더 강하게 다리를 휘감았다. 이 씨는 “한 해 동안 마실 물을 다 마신 것 같다”고 전했다. 그물은 좀처럼 뜯기지 않았고 오리발을 버리고 나서야 수면 위로 올라올 수 있었다. 이 씨는 이날의 경험을 계기로 폐 그물 등 바다 쓰레기를 청소하고 있다.

이 씨처럼 해양 파괴를 경험한 7명의 목소리가 한 다큐멘터리에 담겼다.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와 제작사는 4일 국회에서 공해 보호를 위한 글로벌 해양조약(BBNJ) 비준을 촉구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씨그널’ 시사회를 열었다. BBNJ는 유엔 해양법협약의 조약으로 세계 각국이 2030년까지 공해(公海)의 30%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해는 어느 나라에도 속하지 않으며 모든 나라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다를 말한다. 한국 정부는 13일 BBNJ를 비준했다.

이 씨를 포함해 호주 수중사진작가, 멕시코 어민, 스페인 바다소음 연구자 등이 다큐멘터리에 직접 출연해 바다오염 실태를 증언했다. 호주 동부에서 나고 자란 사진작가 대니얼 니컬슨 씨는 어릴 때 물고기 떼와 산호초 사이를 수영하며 바다를 좋아하게 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바다에 들어갈 때마다 생명력이 넘치던 산호초들이 하얗게 죽어가고 있었다. 산호는 수온이 급격하게 바뀌면 하얀 골격을 드러내는 백화현상을 보인다. 니컬슨 씨는 “호주의 가장 아름다운 자연경관 중 하나로 (세계 최대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베리어리프에 무슨 일이 생길지 두렵다”고 말했다.

해양 보호를 위해 생업을 중단한 마을도 소개됐다. 멕시코 카보풀모 국립해양공원은 해양 동물이 풍부한 서식지였지만 과도한 관광과 수산물 남획으로 생태계가 붕괴됐다. 주민들은 자발적으로 어업을 중단하고 정부에 카보풀모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달라고 촉구했다.

전 세계 바다의 3분의 2는 공해로 생태계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상어와 가오리종 37%가 멸종위기에 처했다. 매년 약 1억 마리의 상어가 상업적으로 포획되고 있으며 전체 수량은 반세기 동안 70%가 줄었다. 김연하 그린피스 해양 캠페이너는 “BBNJ 협정은 공해에 서식하는 해양생물을 보호하는 조치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첫 조약”이라고 말했다. 다큐멘터리 ‘씨그널’은 올 상반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해양 보호#BBNJ#그린피스#해양 쓰레기#해양 생태계#바다오염#다큐멘터리#씨그널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