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한 날씨 속 광주·전남서도 산불…강풍에 진화 어려움

  • 뉴스1
  • 입력 2025년 3월 22일 17시 09분


코멘트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심각 단계 발령

22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화재현장에서 일출과 동시에 소방당국이 헬기로 산불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소방청과 산림청은 이날 가용 인원과 장비를 총 동원해 주불진화가 목적이라고 밝혔다. (경상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22/뉴스1
22일 경남 산청군 시천면 화재현장에서 일출과 동시에 소방당국이 헬기로 산불 진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소방청과 산림청은 이날 가용 인원과 장비를 총 동원해 주불진화가 목적이라고 밝혔다. (경상남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2025.3.22/뉴스1
산불재난 국가 위기 경보가 심각 단계로 격상된 22일 무등산 국립공원을 포함해 광주와 전남에서 6건의 산불이 잇따랐다.

22일 산림청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2분쯤 전남 보성군 노동면의 한 야산에서 불이 났다.

강한 바람에 불길이 번지면서 당국이 진화의 어려움을 겪었고, 5시간 8분 만인 이날 오후 5시 50분쯤 주불을 잡고 현재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보성군 문덕면에서는 오후 2시 18분쯤 산불이 발생했다.

당국은 헬기 3대와 장비 15대, 대원 45명을 투입, 오후 4시 41분쯤 완진 판단을 내렸다.

낮 12시 54분쯤엔 보성군 웅치면의 야산에서 불이 나 1시간 40분 만에 불길이 잡히는 등 전남 보성에서 이날 3건의 산불이 연달아 발생했다.

진도군 군내면에서는 오후 1시 25분쯤 영농부산물을 태우던 불이 야산으로 번졌고 25분 만에 진화됐다. 이 과정에서 주민이 가벼운 화상을 입었다.

광주에서는 무등산 국립공원을 포함해 이날 2건의 산불이 잇따랐다.

무등산 국립공원 광주 북구 금곡동 방면에선 오후 3시 19분쯤 불이 나 약 40분 만에 불길이 잡혔다.

오전에는 10시 7분쯤 광산구 두정동 야산에서 불이 나기도 했다.

당국은 각 산불의 원인과 정확한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산불재난 국가 위기 경보 심각 단계가 발령되고 경남 산청의 대형 산불에 인력이 대거 투입된 상황인 만큼 입산객과 시민들은 작은 불씨라도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달라”고 말했다.

(광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