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건립된 부산 중구 부산민주공원 내 ‘민주주의 기록관’의 모습. 부산민주공원 제공
부산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를 전시하고 보관할 목적으로 부산민주공원에 지어진 건물의 명칭이 ‘민주주의 기록관’으로 정해졌다.
25일 부산민주공원과 부산시 등에 따르면 시는 민주공원 부속 건물의 명칭을 정하기 위해 지난달 3일부터 6일까지 설문조사를 벌였다. 시민 1284명이 참여한 설문 결과, 3개 후보 중 463표(36.1%)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민주주의 기록관’이 부속 건물의 정식 이름으로 결정됐다. ‘민주기록관’은 410표(31.9%), ‘민주주의 기록의 집’은 351표(27.3%)를 받았다. 이 외에 ‘민주주의 성지’ ‘민주기록모음소’ ‘민주누리관’ ‘부산민주역사관’ 등의 이름도 추천됐다.
국비와 시비 등 158억 원이 투입된 기록관은 부산 중구 민주공원 부지 내 지난해 12월 말 건립됐다. 지하 2층∼지상 3층 규모다. 현재 내부 전시시설 설치 등 마무리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기록관 건립은 민주공원의 숙원이었다. 1999년 개관한 민주공원에는 지역 민주화운동 사료와 민중미술 작품이 좁은 수장고에 가득 차서 이를 보관할 별도 공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었다. 건립된 기록관의 지하공간은 문서를 보관하는 수장고로 활용된다. 지상층은 전시실과 각종 체험장 등으로 쓰일 예정이다. 특히 지하 1층은 관람객이 보관 중인 판화 등의 민중미술 작품을 가까이서 볼 수 있도록 ‘보이는 수장고’로 운영될 예정이다.
정식 개관은 6월 7일 부산진구 송상현광장에서 예정된 ‘6월항쟁 기념식’이 끝난 뒤인 6월 말경으로 예정됐다. 민주공원 관계자는 “민중미술 작품을 기증한 작가를 초청해 이들의 이야기를 듣는 시간 등을 개관식 프로그램으로 포함하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