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도민연대, 유해 봉환 사업 추진
유족 채혈 여부 확인 등 조사 예정
제주 4·3사건 수형인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이끈 ‘제주 4·3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한 도민연대’(4·3도민연대)가 새로운 사업을 추진한다. 학살 터에서 발굴된 4·3 희생자 유해를 유족의 품으로 돌려주는 사업이다.
4·3도민연대는 1일 제주시 신산공원에서 4·3해원방사탑제를 개최했다. 신산공원 내에 있는 해원방사탑은 4·3 50주년이던 1998년 4월 제주섬 전역에서 모아온 돌멩이로 쌓은 탑이다. 양동윤 4·3도민연대 대표는 제문(祭文)을 통해 “2000년 4·3특별법 제정 이후 그 시절 폭도는 희생자로 결정됐고, 진상조사보고서가 발간되면서 대통령은 도민과 유족에게 사과했다”라면서도 “희생자와 가족이 모여 살던 정든 집은 불타고 그 자손들은 애기업개와 남의 집 머슴살이를 했을 뿐 아니라 사회의 질시와 냉대까지 견뎌야 했다”고 설명했다.
4·3도민연대는 오랜 세월 아픔을 감내한 유족에게 실종된 가족의 유해를 조속히 돌려주는 사업을 올해부터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제주에서는 2006년 제주시 화북동 화북천(11구)을 시작으로 2007∼2009년 제주국제공항(388구), 2010∼2021년 표선면 가시리 외 8개소(12구) 등 총 417구의 4·3 희생자 유해를 발굴했다.
하지만 417구 가운데 유족 유전자 감식을 통해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 유해는 147구(대전 골령골 1구, 광주형무소 1구 포함)뿐이다. 양 대표는 “77년 넘도록 제주와 육지에 암매장됐다가 드러난 희생자의 유해를 가족에게 안겨 드리는 사업에 나서겠다”며 “올해 첫 번째 조사 대상은 옛 광주교도소 터에서 발견된 261구”라고 말했다. 2019년 옛 광주교도소 부지 정비 과정에서 261구의 유골이 발견됐는데, 4·3도민연대는 발견된 유골 가운데 최소 15명이 4·3 희생자일 것으로 보고 있다. 양 대표는 “행정 차원에서 유족 채혈을 진행하고 있지만, 버스나 방송 광고 등 홍보 위주로만 이뤄지고 있다”며 “수형인 명단 등 구체적인 근거를 통해 유족을 찾아낸 뒤 채혈 여부를 확인하는 등 체계적인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4·3도민연대는 2017년 4월 19일 4·3 당시 군사재판을 받았던 생존 수형인 18명에 대한 재심을 청구해 무죄 취지인 ‘공소 기각’ 판결을 이끌어 냈다. 공소 기각 판결 이후 수형인과 그 유족의 재심 청구가 잇따랐고, 결국 정부는 검사가 유족을 찾아내 재심을 청구하는 ‘직권 재심’을 시행하기로 했다.
송은범 기자 seb1119@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