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에 사활… 목표액 3조7500억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2일 10시 04분


코멘트
울산시가 내년도 국가 예산 확보 목표액을 역대 최대인 3조7000억 원으로 설정했다. 사진은 김두겸 울산시장(가운데)이 지난달 2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국가예산 확보 전략 최종보고회’를 주관하는 모습. 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2026년도 국가 예산 확보전에 나선다. 목표액은 3조7500억 원으로 울산의 성장 동력에 꼭 필요한 액수다. 그러나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정국과 미국발 관세 우려가 고조되는 등 국내외 정치·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국가 예산 전선’이 맑지 않다는 관측이 나온다. 울산시는 그 어느 때보다 치밀한 논리와 전략으로 중앙부처를 설득한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민선 8기 4년 차를 맞아 중앙정부 정책과 연계한 지역 현안 해결 등을 위해 내년 국가 예산 목표액을 3조7500억 원을 잡았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올해 확보액 3조5328억 원보다 6.15%(2172억 원) 늘어난 수준이다.

이런 증가율은 정부가 지난해 8월 발표한 ‘2024∼2028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른 내년도 정부 총지출 증가율(4.0%)을 상회한다. 이는 지역 발전을 위한 대규모 사업 추진을 위해 적극적인 예산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울산시는 2026년도 국가 예산 신청 사업으로 신규사업 102건 1941억 원, 계속사업 732건 2조 8118억 원 등 총 834건, 3조59억 원 규모의 예산을 신청할 계획이다. 4월 말까지 국가 예산 신청 사업을 추가로 발굴할 예정이어서, 중앙부처 신청 규모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도 주요 사업을 보면, 신규사업은 K-조선 핵심인력 양성 교육, 지능형 특성화 기반구축 시범 사업, 인공지능 자율제조 검증센터 구축, 세계적 공연장 건립, 반구천 세계암각화센터 건립 등이다. 2028 울산국제정원박람회와 연계한 국내 최초 수상공중정원 조성도 신규 사업으로 신청한다.

계속사업은 울산다운2 공공임대주택 건설, 울산 도시철도 1호선 건설,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 등이다.

각 지자체는 4월 말까지 중앙부처별로 내년도 국가예산을 신청한다. 중앙부처는 이를 심의해 5월 말까지 기획재정부에 부처별 예산을 제출한다. 기재부는 정부안 심의 후 9월 초 정부 예산을 편성해 국회에 제출하고, 국회는 상임위와 예결위 심의를 거쳐 12월 내년 정부 예산안을 확정한다. 따라서 국가 예산은 연말에 확정되지만, 큰 밑그림은 이달 안에 그려지는 셈이다.

울산시는 올해 국가 예산 확보가 어느 해보다 어려운 상황이라 진단한다. 국내외 경제의 불확실성과 탄핵 정국으로 인한 여야 극한 대립이 맞물리면서 정부의 예산 정책 기조를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다른 지자체의 국가 예산 확보 경쟁 또한 더욱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울산시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국가 예산 확보는 논리 싸움”이라면서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 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논리를 보강하고, 기재부를 비롯한 중앙부처와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정치권과도 긴밀하게 공조하는 등 모든 자원을 총동원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