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서울에서 한국헬시에이징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 ‘초고령사회 건강검진의 미래와 발전 방향’ 심포지엄에서 이런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20세 이상 성인 1229명을 대상으로 올해 2월 28일부터 3월 16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94.1%는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다고 답했고, 검진 주기는 ‘1년마다’와 ‘2년마다’가 48.1%로 같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원하는 검진 항목에 대해선 ‘부족하다’라는 답변이 46.9%로 ‘충분하다’(41.8%)라는 의견보다 많았다.
관심이 높은 건강검진 항목으로는 ‘암(종양) 검진’이 66.6%로 가장 많았고, ‘만성질환 관리(당뇨병, 고혈압 등)’가 52.4%, ‘심혈관 질환’ 47.6% 순이었다.
국가건강검진 중 일부 항목의 상한 연령을 더 높이는 데에는 전체 응답자의 82.2%, 60세 이상 고령층의 78%가 동의했다. 현재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일반 국가건강검진의 경우 연령 상한은 없다. 다만 국가암검진은 폐암만 상한 연령을 74세 이하로 제한한다.
치매와 파킨슨병 등의 노인성 질환에 특화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이 생긴다면 받을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전체 응답자의 81.6%, 60세 이상의 88%가 ‘그렇다’고 답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