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진 제주RISE센터장 직무대행은 1일 제주시 아라동 제주RISE센터에서 진행된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는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 소멸과 지역대학 폐교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교육부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해 올해부터 RISE를 본격적으로 출범시켰다”며 “RISE는 단순한 대학 재정지원 사업을 넘어 지자체와 대학, 기업과 지역 공공기관이 협력해 지역 혁신을 주도하고 지역사회 및 산업을 활성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RISE가 특별히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대학 재정지원 사업은 중앙정부 주도로 지방대학 발전을 지원하는 구조다. 반면 RISE는 지자체가 주도하기 때문에 지역 산업·경제·사회가 요구하는 정책을 대학에 곧바로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자체와 대학이 긴밀히 협력하면 지역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인재 양성과 취업, 정주가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
―RISE 관련 예산 규모는 얼마인가.
“교육부는 올해부터 RISE 추진을 본격화하기 위해 17개 광역지자체에 총 2조1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지역별 배분은 RISE 기본계획 및 체계 구축의 우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된다. 제주의 경우 500억 원 규모의 예산 투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국비 300억 원, 지방비 27억 원 등 총 327억 원은 협약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예산은 4월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편성할 계획이다.”
―예산을 지자체가 쥐게 되면 대학이 종속되는 건 아닌지.
“RISE 사업은 공모와 평가를 통해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공정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가위원 선정에도 기준을 엄격히 적용한다. 지자체 전·현직 공무원이나 RISE센터 직원, 사업 신청 기관과 이해관계가 있는 인물은 철저히 배제하고 있다. 평가위원 구성도 학계, 교육계, 산업계, 연구기관 관계자 등 일정 비율을 두며 이 중 절반 이상은 중앙RISE센터가 제공한 전문가 풀을 활용해야 한다. 지자체와 대학 간 수직 관계가 될 우려는 없다.”
―올해 제주RISE센터 주요 사업을 설명해달라.
“제주RISE 기본계획은 5개 프로젝트와 8개 단위 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총 5년에 걸쳐 추진된다. 단위 과제 중 대표 사업인 ‘글로벌 K-교육·연구 런케이션 플랫폼 조성 사업’은 지자체와 학교, 기관이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국내외 기관과 대학의 인재를 제주로 유치하고 교육과 휴양을 함께 제공하는 모델이다. 제주RISE 사업은 5월부터 지자체와 학교가 함께 1차 연도 사업을 추진한다. 향후 5년 동안 제주RISE센터가 어떻게 제주의 미래를 바꿀지 관심 있게 지켜봐 달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