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은 평균적으로 70.2세부터를 ‘노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령화에 따라 정년을 연장해야 한다는 데 서울시민 10명 중 9명(87.8%)이 동의했다.
서울시는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는 시민의 인식 변화와 생활상, 가치관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시행하는 조사로, 올해는 가구 2만 곳(3만6280명), 시민 5000명,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올해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맞춰 ‘노인 기준 연령’을 묻는 문항이 처음 포함됐다. 조사 결과 서울시민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평균 연령은 70.2세로 나타났다. 특히 65세 이상 응답자들은 평균 72.3세부터를 노인으로 봤고, 65세 미만 응답자는 69.8세라고 답해 세대별 인식 차이도 확인됐다. 연령 구간별로는 전체 응답자의 51.7%가 70~74세를 노인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고령화 사회에서 정년을 연장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87.8%가 ‘동의한다’고 응답, ‘동의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2.2%에 그쳤다.
서울시내 1인가구 비중은 전체의 39%로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 서울시가 2만 가구를 조사한 결과 1인가구 가운데 60세 이상이 40.6%로 가장 많았고, 이어 2030대(35%), 4050대(25%) 순이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전체의 20%였고, 이 가운데 1인가구 비율이 36%를 차지해 혼자 사는 시민들의 반려동물 의존 경향이 두드러졌다.
서울 시민의 72%는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중간’이라고 인식했고, ‘하’는 24.6%, ‘상’은 3.4%로 나타났다.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30.5%로, 2020년(17.2%) 대비 13.3%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율은 24.5%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의 대표 명소로 가장 많이 꼽힌 곳은 ‘광화문광장’(48.4%)이었다. 이어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23.5%), ‘서울시청 앞 광장’(20.6%) 순이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