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울, 자살 위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겪은 소방공무원의 비율이 전년도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23~2024년 소방공무원 마음건강 설문조사’에 따르면, PTSD를 경험한 소방공무원은 전체 응답자 6만1087명 가운데 4375명(7.2%)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6.5%)보다 0.5%P 증가한 수치다.
우울감을 느낀 응답자는 3937명(6.5%), 자살 위험이 있는 응답자는 3141명(5.2%)으로, 각각 0.2%P, 0.3%P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문제성 음주는 전년 대비 0.1%P 늘어나 6.7%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외상 사건에 12회 이상 노출된 소방공무원의 비율은 13.5%, 15회 이상은 10.5%였다. 두 지표 모두 2023년보다 0.2%P 하락했다.
정신건강 관련 수치는 악화했지만, 회복 탄력성 점수는 10점 만점에 평균 5.4점으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회복 탄력성은 스트레스나 충격 상황을 이겨내는 심리적 능력을 의미한다.
소방공무원의 ‘기질적 용서’는 평균 90.5점(126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기질적 용서는 부정적인 일이 발생했을 때 상황을 잘 받아들이고 용서하는 것이다. 세부 항목별로는 자기 용서 31.2점, 상황 용서 29점, 타인 용서 30.3점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소방공무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정신건강 문제를 겪는 소방공무원의 비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어 실질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