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시민들이 도보 30분 내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일상권’ 모델을 만든다고 22일 밝혔다.
보행 일상권은 멀리 이동하지 않고도 집 근처에서 생활편의, 여가, 돌봄, 학습, 공공서비스 등 여러 일상을 누릴 수 있는 생활권을 의미한다. 2022년 서울시가 발표한 미래공간전략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주거 위주로 형성된 서울의 일상생활 공간을 전면 개편하려는 도시공간 전략이다. 해외에서는 프랑스 파리가 ‘15분 도시’를, 호주 멜버른과 미국 포틀랜드가 ‘20분 도시’를 조성하며 보행 일상권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서울시는 대상지 8곳에서 시범사업을 진행해 9월까지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상지는 △평창·부암(종로구) △금호·옥수(성동구) △청량리(동대문구) △신길(영등포구) △정릉(성북구) △수유(강북구) △홍제(서대문구) △양재(서초구) 등이다.
시범사업은 보행 일상권 실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사전 단계다. 시는 역세권 등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보행 일상권을 어떻게 조성할지, 또 보행 일상권 내에 어떤 필수시설이 필요한지에 대한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다. 접근성 향상을 위한 생활가로 네트워크 구축 방안도 함께 검토한다. 이를 바탕으로 9월까지 ‘보행 일상권 조성계획 기준’을 마련하고, 이후 서울 전역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또 서울시는 시범사업을 통해 대상지별 보행 일상권 필수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시설 확충 방안도 함께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역별 인구 특성’을 접근성 분석에 반영해 영유아나 노인 등 특정 인구집단이 밀집한 지역에는 해당 인구에 맞는 필수시설 확충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시범사업은 서울형 보행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앞으로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순차적으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