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지난 24일 도청 소회의실에서 전형식 정무부지사를 비롯해 서산시, 태안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양환경공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예비 타당성 조사 대응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충남도 제공
충남도가 서산·태안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사업에 대한 국가 계획 반영을 위해 행정력을 결집하고 나섰다.
27일 충남도에 따르면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은 서산시와 태안군 사이에 있는 가로림만의 해양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관리하고, 올바른 이용을 통해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사업이다.
가로림만 해역은 세계 5대 갯벌인 서남해안 갯벌에 속하며, 2016년 전국 첫 해양생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됐다. 국내 최초·최대 해양생물보호구역인 가로림만을 자연과 인간, 바다와 생명이 어우러진 명품 생태 공간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것이 도의 계획이다.
그러나 도와 서산시는 핵심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던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 사업을 수년째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다. 2019년부터 1200억 원대 사업 계획을 세우고 예비타당성 조사를 받아왔지만 ‘타당성 부족’으로 사업이 좌초된 바 있다.
지난해 6월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분과위는 생태계 보전 활용 정책에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며, 종합평가 기준점인 0.5점보다 낮은 0.49점의 평점으로 결국 이 사업은 탈락했다.
이후 도는 사업에 대한 재추진 동력 등을 마련하기 위해 4400억여 원 규모의 종합계획을 새롭게 마련했다. ‘바다와 생명이 모두 건강해지는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을 비전으로, 해양 생태계의 체계적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 등을 기본 방향으로 잡았다.
세부 사업으로는 해양 생태계 모니터링, 갯벌 생태계 복원, 연안 오염원 저감, 담수호 생태 복원, 생태 탐방 뱃길, 서해 갯벌 생태공원 등이 있다.
도는 올해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을 받고, 내년 세계자연유산 등재를 통해 법적 지위를 확보하고, 정책성과 경제성을 한층 더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도는 최근 가로림만 국가해양생태공원 예타 대응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내년 12월까지 21개월 동안 진행하는 이번 용역은 가로림만 자연환경과 인문·사회환경 분석, 지역경제와 기반 시설 환경 및 특성 분석, 광역 및 지역 교통망 현황과 계획 검토, 국가 계획과의 연계성 분석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용역과 동시에 오는 9월에는 정부에 예타를 신청하고, 내년에는 예타 통과 성적표를 받는다는 목표다. 전형식 도 부지사는 “천혜의 해양 생태 보고인 가로림만의 효율적인 보존과 활용을 위해 국가해양생태공원 지정 및 조성이 꼭 필요하다”며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사업을 구체화하는 한편 짜임새 있는 전략으로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겠다”고 말했다.
가로림만 갯벌에는 흰발농게, 대추귀고둥 등 법정 보호종을 포함해 600여종의 갯벌 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