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자원순환정책 ‘눈길’
지역 맞춤형 생활 쓰레기 수거함… 관리 편의성 높여 민원 ‘0건’ 달성
올해 11→26개로 대폭 확대 예정
‘언어 장벽’ 외국인 주민 위해… 영어-중국어 등 안내판 설치도
충북 청주시가 지난해 말 10년 만에 도심지역에 새로 설치한 자원순환정거장이 주택가 무단투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사진은 청주 옥산성당 인근에 설치된 자원순환정거장. 청주시 제공
충북 청주시가 올해 ‘자원순환정거장’을 대폭 늘리고, 외국인들을 위한 다국어 안내판을 설치하는 등 ‘청주형 자원순환정책’을 추진한다.
시는 현재 11개인 자원순환정거장을 26개로 늘려 운영 거점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28일 밝혔다. 자원순환정거장을 보편화해 시민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일상 속 자원순환 거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자원순환정거장은 생활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일정한 장소에 쓰레기를 내놓도록 만든 시설을 말한다. 이전까지 ‘클린하우스’로 불렸지만 시는 2024년 말부터 자원순환정거장으로 명칭을 바꿨다.
이를 뒷받침할 ‘청주시 생활폐기물 거점수거시설 설치 지원’ 조례도 마련됐다. 이 조례에 따르면 새로 설치되는 자원순환정거장은 간결한 구조에 핵심 기능만을 최적으로 배치해 경제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또 기존 시설보다 50% 정도의 비용을 줄였다고 시는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시는 올해부터 외국인 주민 밀집 지역에 ‘다국어 안내형 자원순환정거장’도 설치한다. 언어 장벽으로 쓰레기 배출에 어려움을 겪는 외국인들을 위해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등 다국어 안내판을 설치하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외국인의 언어장벽을 고려한 배려형 설계로, 다문화 도시 청주의 특성을 반영한 선도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도심 지역 5곳에 새로 설치한 자원순환정거장이 주택가 무단 투기의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자원순환정거장은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설치된 뒤 10년 넘게 신규 설치가 중단됐다. 또 신규 설치 대신 기존 시설 이전 방안만 논의됐다. 시는 지난해 해당 계획을 전면 재검토해 이전 설치 대신 신규 설치로 선회했다.
시는 기존 시설이 낡고 좁은 공간 등 불편한 점이 많아 시민들이 불편했고,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았다는 지적에 따라 지역 맞춤형 수거함 도입과 고해상도 폐쇄회로(CC)TV 및 내부 감시 모니터 설치 등 관리와 편의성을 높였다. 이후 무단 투기가 줄고, 단 한 건의 민원도 접수되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효과가 입증되자 신규 설치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은 읍면지역 위주로 연간 10건 미만의 설치 요청이 있었다. 하지만 올 초 40건가량의 신규 설치 요청이 접수됐고, 절반 정도는 동 지역에서 접수됐다.
안용혁 시 환경관리본부장은 “기존의 낡고 비효율적인 자원순환정거장을 없애고 시민 중심의 시설로 바꾼 덕분에 주택가 무단투기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고 있다”라며 “앞으로 현실에 맞는 효율적이고 적합한 시설을 만들고 조례 등 관련 제도도 마련해 청주형 자원순환정책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