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젊은 당뇨’ 환자 급증… 유병률 10년 새 2배 증가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1일 14시 02분


코멘트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당뇨병에 걸린 국내 20, 30대가 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1일 대한당뇨병학회 학술지에 최근 실린 ‘한국 2형 당뇨병 젊은 성인의 유병률, 발생률 및 대사 특성(2010∼2020년)’ 논문에 따르면 2010년 1.02%였던 국내 19∼39세 2형 당뇨병 유병률은 10년 만인 2020년 2.02%로 상승했다. 2020년 기준 약 37만 명의 청년층이 2형 당뇨를 앓고 있었다. 특히 30대 유병률은 2010년 2.09%에서 2020년 3.9%로 증가했다.

2형 당뇨는 흔히 일반적으로 말하는 당뇨에 해당한다. 문제는 2형 당뇨병 환자 상당수가 비만을 동반한다는 점이다. 논문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이들 젊은 당뇨 환자의 67.8%가 체질량지수(BMI) 25kg/㎡ 이상의 비만이었고, 31.6%는 고도비만(BMI 30kg/㎡ 이상)에 해당했다. 비만은 고혈압(34.2%), 이상지질혈증(79.8%), 지방간(78.9%)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으로 이어졌다.

당뇨로 인한 합병증의 유병률도 증가세다. 심부전은 2020년 기준 젊은 당뇨 환자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혈관 합병증으로 확인됐으며, 만성신부전증(말기 신장 질환), 증식성 당뇨망막병증,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도 발생했다.

당뇨병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부모가 모두 당뇨병인 경우 자녀가 당뇨병이 생길 가능성은 30% 정도다. 한 사람만 당뇨병인 경우는 15% 정도다. 다만 비만, 식습관, 운동 부족 등 여러 환경적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식습관 관리와 꾸준한 운동을 병행하는 게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운동 부족 등이 2030 당뇨 증가의 원인”이라며 “식습관과 운동 부분이 해결돼야 당뇨 전단계나 당뇨병이 개선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당뇨병#2형 당뇨#청년층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