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소방관까지 사칭…공문 위조 사기, 전국 확산
구매 요청 받으면 관련 부서에 연락해 신원 확인해야
ⓒ News1 DB
최근 공무원을 사칭해 물품 구매를 유도하는 사기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관계기관은 “공공기관이 민간에 물품 구매를 요청하는 일은 절대 없다”며 시민 제보와 신속한 신고를 당부했다.
12일 수원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수원에서 컴퓨터 판매업체를 운영하는 A 씨는 “수원시 소속 주무관”이라고 신분을 밝힌 B 씨의 전화를 받았다.
B 씨는 사무용 물품 견적을 요청하며 수원시 명의로 작성된 ‘물품구매 확약서’ 형식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이는 위조된 가짜 공문이었다.
B 씨는 “부서에 급한 사정이 있어서 심장제세동기도 구매해야 하는데, 기존에 거래하던 업체랑 연락이 되지 않는다”며 A 씨에게 특정 업체 명함까지 함께 보냈다.
그러나 공공기관과 계약한 경험이 있는 A 씨는 공문 형식과 내용에서 이상한 점을 감지하고 국민신문고에 민원을 제기했다. 이 같은 내용을 접수한 수원시는 해당 공문이 위조된 사실을 확인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수원시 명의로 작성된 ‘물품구매 확약서’ 가짜공문. 사진제공=수원시 수원시는 이번 사건은 최근 잇따라 발생한 군부대 사칭 사기와 유사한 수법이라고 설명했다. 공공기관을 사칭해 신뢰를 얻은 후 물품 구매를 약속하고, “물품 대금을 함께 정산하겠다”는 명목으로 가상의 납품업체에 대리 구매를 유도하는 사기 수법이라는 것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 공무원을 자처하는 사람이 공문 형태 문서를 보내고, 물품 구매 요청을 하면 반드시 수원시 홈페이지에서 해당 공무원의 행정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관련 부서에서 신원을 검증해야 한다”며 “수원시는 담당 공무원의 개인 휴대전화로 물품을 주문하거나 납품업체에 대금을 대신 지불해 달라고 요청하는 방식으로 거래를 진행하는 일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들께서는 수원시 공무원을 사칭하고, 공문서를 위조해 물품 구매를 요청하는 사기 수법에 각별히 주의해 달라”며 “이러한 연락을 받으면 즉시 112에 신고해 피해를 예방해 달라”고 당부했다.
ⓒ뉴시스 천안에서도 유사한 수법의 사기 시도가 발생했다.
7일, 한 남성이 자신을 소방관이라고 밝히며 천안의 한 블라인드 업체에 찾아가“소방서에서 사용할 방화복을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천안서북소방서 명의로 위조된 명함을 제시하며, 5500만 원 상당의 물품 구매를 시도했다. 하지만 의심을 품은 업주가 소방서에 직접 사실을 확인하면서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10일에도 한 닥트 공사업체 대표를 대상으로 유사한 접근이 시도됐다. 업체 대표도 의심을 품고 천안서북소방서를 직접 방문해 피해를 막았다.
김종욱 천안서북소방서장은 “소방 기관은 민간업체나 소상공인을 상대로 물품 대리 구매 요청을 지시하는 일이 전혀 없다”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해당 기관에 사실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