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는 올해 344억 원을 투입해 1만7136ha 규모의 ‘맞춤형 숲 가꾸기’ 사업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후 위기 대응 및 산림의 공익적·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빛이 잘 드는 숲 구조를 조성함으로써 어린나무와 다양한 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뒀다. 사업 대상은 조림지 가꾸기 1만4113ha, 어린나무 가꾸기 1283ha, 경제림 가꾸기 612ha, 산불 예방 숲 가꾸기 382ha, 공익림 가꾸기 746ha이다. 도는 전체 산림의 70% 정도를 수령 30년 이상 된 장령림으로 구성해 탄소 흡수 능력 감소, 숲 내부 과밀로 인한 생태계 건강성 하락 등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사업별로 경제림은 목재 생산성과 품질 향상을, 공익림은 생태적 기능 회복과 자연재해 예방에 중점을 뒀다. 산불 예방 숲가꾸기는 산불에 취약한 소나무류를 집중 관리함과 동시에 가지치기와 솎아베기를 통해 산불 연료가 수관을 따라 확산되는 ‘불길 사다리’를 차단하는 등 예방형 관리 모델을 강화한다. 사회적 가치 실현과 지역 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저소득층과 취약계층 78명을 재정 일자리로 채용하기도 했다. 고대열 도 산림자원과장은 “맞춤형 숲가꾸기를 통해 산림의 활력을 높이고,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변화 대응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지속가능한 산림관리로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숲가꾸기는 산주의 비용 부담 없이 사업에 동의하면 시행되는 국고보조사업으로, 산림 소재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관할 산림부서, 지역 산림조합을 통해 연중 신청 가능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