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5월 20일경 고 아오이 가쓰오 아사히신문 사진기자는 광주에서 계엄군이 시민을 폭행하고 승객을 끌어내기 위해 탑승하는 장면을 촬영했다. 5·18기념재단 제공
1980년 5월 당시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들은 재일한국 교포들과 함께 신군부의 폭력에 희생된 광주 시민을 안타까운 시선으로 바라봤다. 이들은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45년 동안 다양한 문화 운동으로 5·18 광주 시민들에 대한 지지를 보여줬다. 5·18이 발생한 지 45년이 흐른 현재 일본 사회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을 이제 부러움의 시선으로 바라볼 정도로 상황이 변했다.
5·18 민주화운동은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사회는 물론 독재에 시달리는 동남아시아에 민주주의 나침판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오월지기 김용철 씨는 15일 “제 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한국 근대사에 애착이 큰 일본인 32명이 각자 경비를 내고 참석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일본의 경우 2차 세계대전 패망 이후 연합군(미군정)에 의해 민주주의가 정착됐지만, 한국은 독재와 싸워 민주주의를 쟁취한 것이라고 높게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혜원 5·18기념재단 글로컬센터 부장은 “미안마 등 동남아 국가에서 5·18을 겪은 한국의 민주주의 사례를 배우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동남아 사람들은 한국 같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12·3 불법 비상계엄이 일어난 것에 놀라고, 이를 빠르게 극복한 것에 또 다시 놀라는 분위기”이라고 설명했다.
5·18이 세계화 된 것은 일본 시민운동가들과 재일 교포들의 꾸준한 지지도 한몫했다. 일본 화가 도미야마 다에코(富山妙子)는 1980년 5월 기사로 광주 참상을 접하고 곧바로 판화를 새겼다. 다에코는 1981년 ‘오월의 바람’이라 명칭을 붙여 2개월 동안 판화전을 열며 오월 광주와 함께 했다.
그는 판화전을 통해 자유를 위해 목숨을 거는 것의 가치를 잊어버리고 사는 사람들의 빈곤한 정신을 각성하게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판화는 달력으로도 제작돼 5·18의 진실을 세계에 알렸다.
재일 교포 시인들은 5·18 1주년을 맞아 1981년 5월 27일 일본 도쿄에서 한국어로 광주항쟁시선 ‘아아, 光州(광주)여 無等山(무등산)이여’를 발행했다. 책은 한국어로 작성된 5·18 연대시집이다. 시집에 “비록 몸은 해외에 있지만 그 뜻과 마음은 5·18 희생자들과 함께 있는 외침이다. 또 광주 학살자들에 대한 추상같은 고발장”이라고 적혔다.
광주항쟁시선 ‘아아, 光州여 無等山이여’는 5·18민주화운동 1주년을 맞아 1981년 5월 27일 일본 도코에서 한국어로 발행한 해외교포 연대시집이다. 5·18기념재단 제공재일 교포들의 5·18과 연대는 광주 연대시집 발간으로도 이어졌다. 일본 시인 미야바야시 히코키치( 宮林彦吉)는 ‘광주만이 빛나고 있다’를 통해 5·18 피해자들을 기렸다. 재일교포 가수인 백룡은 자신의 두 번째 앨범인 ‘광주City’를 통해 5·18과 광주 진실을 알렸다.
일본 시민사회단체 이외에 종교계에서도 5·18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 일본 천주교 정의평화위원회는 1981년 5·18관련 자료들을 모아 자료집으로 발간했다. 이들은 한국에서 은밀하게 전달된 5·18의 기록을 일본어, 영어로 번역해 세계에 알렸다. 또 일본 프로테스탄트협의회는 한국통신 책자를 발간해 한국 민주화운동 관련 정보를 모아 세계에 전했다.
일본 시민사회단체나 재일교포들이 빨리 5·18소식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은 1970년대 유신독재부터 한국 시민사회단체와 연대했기 때문이다.
일본 세카이(世界)잡지는 오월광주 참상을 다룬 ‘어둠의 기록’ 칼럼을 비롯해 한국 상황을 실었다. 1973년부터 1988년까지 15년간 게재된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은 국내에서 주목을 받았다. 5·18기념재단 제공고 지명관 한림대 석좌교수(1924~2022)는 1973년부터 1988년까지 ‘TK生(생)’이라는 필명으로 일본의 대표적 지성지 세카이(世界)에 ‘한국으로부터의 통신’을 연재해 가혹한 군사통치와 민주화운동을 알렸다. 세카이는 5·18 당시의 실상을 적은 ‘어둠의 기록’ 기획칼럼을 개재했다.
5·18항쟁 기간 초기인 1980년 5월 19, 20일경 일본 기자들은 광주상황을 신속하게 알렸다. 고 아오이 가쓰오 전 아사히 신문 사진기자(1934∼2017)도 5·18당시 게엄군이 광주 시민들을 무차별 폭행하는 사진을 담아 일본 사회에 전했다.
18일 일본 도쿄에서 5·18민주화운동 제 45주년 기념식이 열린다. 기념식은 김대중재단 일본위원회와 일본 민주연합에 주관한다. 김상열 전 일본민주연합대표(64)는 “지난해 12·3 비상계엄 직후 20~30대 재일 교포 청년들도 계엄을 반대하는 집회에 많이 참여했다”며 “5·18기념식에서 참석해 민주주의를 배운 영향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 사람들도 5·18을 민주주의 사회의 자랑이라고 높게 평가한다”며 “민주주의를 지키겠다는 각오로 5·18정신을 계승하고 전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