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1부터 5등급제로 완화
고교 학업성취도 A등급 비율 18.3%…‘2028 대입’ 내신 1등급은 상위 10%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가 배부된 지난해 12월 6일 오전 경기 수원시 영통구 효원고등학교에서 성적표를 받은 학생들이 지원 가능 대학 배치표를 확인하고 있다. ⓒ News1
올해 고등학교 1학년부터 학교 내신이 기존 9등급제 상대평가에서 5등급제로 완화됐다. 이에 따라 1등급을 받을 수 있는 학생 비율은 4%에서 10%로 확대됐다. 하지만 함께 병기되는 절대평가인 학업성취도에서 A등급을 받아도 이중 절반 가량은 상대평가 1등급을 받기 어려울 거라는 분석이 나왔다. 교육부는 내신 체제를 개편하며 상대평가 완화로 학생 부담이 완화될 거라고 설명했지만 내신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18일 종로학원이 학교알리미에 공시된 고교 2375곳 1~3학년의 지난해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A등급 비율은 18.3%였다. 2028학년도 대학입시부터 적용되는 내신 1등급 비율은 10%까지인데 A등급의 절반 정도가 1등급을 못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A등급은 보통 시험에서 90점 이상을 받으면 부여된다. 하지만 석차등급은 시험 점수와 수행평가를 반영해 상위 4% 이내만 1등급을 받는다.
과목별로는 수학의 평균 A등급 비율이 16.5%로 가장 낮고 영어 17.7%, 과학과 사회 각 18.9%, 국어 19.0% 순이었다. 고교 유형별로는 특수목적고와 자율형사립고의 평균 A등급 비율은 40.4%로 일반고(18.5%)보다 2.2배 많았다. 이들 학교에서는 A등급을 받은 4분의 3은 1등급을 못 받는 셈이다. 세부 유형별로는 과학고가 66.7%로 A등급 비율이 가장 높았고 외고·국제고 39.5%, 자사고 34.1%였다.
전국 3281개 중학교의 지난해 국영수사과 평균 A등급 비율은 28.2%로 고등학교보다 9.9%포인트 높았다. 즉 중학교 때 A등급을 받았다고 해도 고등학교 진학 뒤 1등급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고등학교 내신은 대입에 반영돼 매우 중요한데 중학교 때의 학업성취도로 고교 성적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도 의미한다. 과목별 A등급 비율은 영어 31.0%, 사회 29.6%, 국어 27.0%, 수학 26.2%, 과학 25.8% 순이었다. 내신을 받기 가장 어려운 과목이 고등학교에서는 수학인 반면 중학교에서는 과학인 것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고등학교 내신이 5등급제로 완화됐어도 시험 점수가 90점 중후반 때까지 도달하지 못하면 1등급 이내로 안정적으로 진입하기 어렵다”며 “중학교에선 거의 만점 수준에 육박하지 못하면 고교 진학 뒤 내신 1등급 진입이 힘들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입시 전문가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의 내신 A등급 비율 격차가 상당하다는 것을 중학교 때부터 인식하고 학교 내신 관리를 잘 해야 한다고 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