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산’ 아이 여름 옷 유해물질 범벅…납 기준치 최대 25배

  • 뉴스1
  • 입력 2025년 5월 29일 06시 12분


코멘트

신발·상의·하의 총 24개 제품 중 14개 ‘부적합’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여름철을 맞아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하절기 제품 24개를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14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국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안전기준에 미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검사 대상은 테무·쉬인·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상의 7개 △하의 9개 △신발 8개 제품이다.

어린이용 신발 4개 제품에서는 납·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국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pH 수치도 기준을 벗어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중 1개 제품은 깔창의 pH가 기준치(4.0~7.5)를 초과한 8.9로 나타났으며 가죽 코팅 부위에서는 납이 기준치(90㎎/㎏ 이하)의 약 25배가 검출됐다

또 다른 제품은 깔창·신발끈 등 4개 부위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최대 33배 초과 검출됐고 깔창 코팅에서는 납이 1.3배 초과됐다.

어린이용 상의 4개 제품에서는 원단·목 부위·장식 부위 등에서 pH 수치가 모두 기준치를 벗어나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특히 한 제품의 장식용 체크무늬 직물에서는 pH 8.8로 측정됐고, 노닐페놀은 기준치(100㎎/㎏ 이하)의 1.3배가 검출됐다.

어린이용 하의 6개 제품도 유해물질과 pH 기준치를 초과했거나 물리적 안전기준을 위반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중 5개 제품은 장식용 허리끈(기준 14㎝ 이하) 또는 고정 루프(기준 원주 7.5㎝ 이하)의 길이가 기준치를 초과해 안전사고 위험이 있었다.

1개 제품에서는 금속단추에서 카드뮴이 기준치(75㎎/㎏)의 1.67배 검출됐다. 다른 1개 제품은 바지 몸판의 pH가 8.0으로 기준을 초과했다.

납은 생식기능 저하와 암 유발 가능성이 있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켜 불임·조산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노닐페놀은 성조숙증과 기형아 출산 등과 관련이 있으며 카드뮴은 간·신장에 축적되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다.

시는 이번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적합 제품의 판매 중단을 각 온라인 플랫폼에 요청했다.

오는 6월에는 장마철 수요가 많은 △어린이용 우산 △우비 △장화 등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추가로 실시할 계획이다.

검사 결과는 서울시 누리집 또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