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해수부 부산 이전’ 지시…신청사 부지는 어디?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6월 9일 15시 46분


코멘트

법 개정 없이도 이전 가능…북항·영도구·문현혁신도시 등 주목

ⓒ뉴시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5일 국무회의에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지시하면서 해수부 신규 청사가 어디에 들어설지에 대한 지역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해수부는 이 대통령의 지시가 내려진 이후 이전 추진단을 구성하고 준비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는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 개정이 불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법에는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여성가족부를 서울에서 이전하지 않는다는 규정만 있다.

또한 해수부가 맡는 사무가 바뀌지 않는다면 정부조직법 개정도 필요하지 않을 전망이다.

해수부는 법령 해석 등 문제를 피하기 위해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의 유권해석을 받아 이전 계획 고시를 할 예정이다.

이런 절차를 거치게 되면 해수부는 부산 이전이 확정된다. 해수부 부산 이전에 속도가 붙으면서 신청사의 입지에 대한 지역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곳은 북항재개발 지역. 북항재개발 1단계 지역 내에 공공시설 용지가 배당돼 있다. 이곳에는 정부지방합동청사가 들어설 예정이다. 부산본부세관 일부, 부산출입국외국인청,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등 11개 정부 기관이 이전한다.

해수부가 이곳에 위치한다면 정부부산지방합동청사에서 (가칭)정부부산청사로 격상될 가능성도 있다.

또 다른 곳은 복합항만지구다. 이곳은 부산국제여객터미널과 북항 랜드마크 부지의 중간 지점으로 현재 부산역과 구름다리로 연결된 곳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곳이다. 부산역과 직접 연결돼 있는 만큼 서울~세종간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소통 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복합항만지구에는 한국해양진흥공사 전용 사옥, 한국해운조합부산지부 등 6개 해양 관련 기관이 클러스터를 조성할 예정이다. 해수부가 들어서면 화룡점정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항재개발 지역을 제외하고는 영도구 동삼 해양클러스터 지구와 남구 문현혁신도시가 꼽힌다.

동삼해양클러스터 지구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등 이전 공공기관 4곳과 유관기관 8곳 등이 위치해 있다. 해수부 이전으로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력이 기대된다.

문현혁신지구는 4단계 부지가 비어 있는 상태다. 현재 1만293.8㎡에 45층 규모의 3단계 BIFC 2가 건설 중으로 올해 말 준공 예정이다.

4단계 부지는 당초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지로 거론됐던 만큼 새롭게 부지 이용 용도를 찾아야 한다. 다만 문현혁신도시는 정부와 부산시가 ‘금융중심지’로 육성시키기 위해 개발 중인 만큼 정부 부처 입지는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민주당 부산시당 관계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부터 약속해 왔던 만큼 당선 직후 공약 이행을 추진 중”이라며 “시당 차원에서 부지에 대해 언급할 상황은 아니라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부산=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