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나주시 ‘기후에너지부 유치’ 한목소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12일 10시 15분


코멘트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전남도와 나주시는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기후에너지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나주시 제공
전남 나주시 빛가람동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전남도와 나주시는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로 기후에너지부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나주시 제공
전남도가 새 정부에서 신설될 기후에너지부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재생에너지 잠재량 전국 1위, 농수산 분야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을 갖춘 전남이 기후에너지부의 최적 입지라며 유치 당위성을 피력하고 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11일 입장문을 내고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이 있는 에너지 수도인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 기후에너지부가 유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기후위기가 미래 세대의 생존까지 심각하게 위협하는 중차대한 시기에,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결정적 전기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기후·에너지 정책은 그동안 부처 간 칸막이 행정과 분절된 책임 구조 탓에 실효성이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지사는 “신재생에너지 인허가만 해도 산업부, 환경부, 해수부, 국토부, 자치단체가 각기 따로 움직이는 구조 속에서 기업은 불확실성에 발목이 잡히고, 주민은 소외되며, 투자는 지연되고 있다”며 “기후에너지부는 이런 구조를 통합해 기후위기와 산업 전환, 에너지 전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국가 전략의 중심축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은 실제 지구온난화, 해수면 상승, 태풍, 가뭄 등 기후위기의 최일선에서 기후변화 해결책을 찾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대한민국 기후 리더십을 전 세계에 천명할 제33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3) 유치, 국가 탄소중립에 기여할 여수산업단지·묘도 탄소포집·활용·저장(CCUS)과 여수·광양만권 청정수소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 기본소득,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주민 이익공유제 등 새로운 에너지 정책도 선보이고 있다.

또한, 농식품기후변화대응센터, 국립 아열대작물실증센터, 해양 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국가해양생태공원과 블루카본 바다숲 조성 등 농수산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플랫폼도 구축하고 있다.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인 나주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에너지 공기업인 한전과 전력거래소, 한전KDN 등 에너지 공기업과 에너지 특화대학이 자리해 협업에도 유리하다.

전남도는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인 3.2GW급 주민참여형 해상풍력 집적화 단지를 비롯해 영농형 태양광, 전국 최초의 데이터센터 RE100 산업단지, 분권형 에너지고속도로를 구축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전남의 재생에너지 잠재량은 1176GW로 전국(7333GW)의 16%를 차지해 전국 1위”라며 “이러한 역량을 갖춘 전남은 기후에너지부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실행 거점이자 최적의 입지”라고 밝혔다.

이어 “최전선 현장에서 답을 찾아온 전남도가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기후에너지부 조직 설계에 지역 목소리를 담고, 전남형 에너지 전환 모델을 국가정책으로 확산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나주시도 에너지 공기업과 교육기관 등이 집적화된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가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며 유치 의사를 분명히 했다.

윤병태 나주시장은 “빛가람혁신도시는 에너지밸리와 지역혁신클러스터, 에너지신산업융복합단지, 강소연구개발특구, 직류산업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 등 4대 특구를 조성하고 있다”며 “미래 에너지산업 전반에 대한 기업 지원과 우수한 교통·산학연 인프라 여건을 갖춘 나주로 기후에너지부가 와야 한다”고 밝혔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