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 가동
서울시가 제21대 대통령 선거 이후 수거된 폐현수막 7.3t을 전량 재활용하기로 했다.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을 통한 체계적인 처리로, 재활용률을 기존 30%에서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12일 이번 선거 이후 수거된 폐현수막 7.3t 가운데 2.7t은 전국 최초로 조성된 성동구 용답동 중랑물재생센터 내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에서 부직포 원료로 물질 재활용된다고 밝혔다. 나머지 4.6t은 각 자치구가 자체적으로 재활용할 예정이다.
폐현수막 전용 집하장은 약 10t의 현수막을 보관할 수 있는 1661㎥ 규모의 공용 집하장으로, 지난달 문을 열었다. 이전까지는 25개 자치구가 각기 폐현수막을 개별 처리해왔다. 일부 자치구는 자체 처리 인프라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었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14개 자치구가 이 공용 집하장을 이용해 부직포 원료로의 재활용을 추진하고, 나머지 11개 구는 자체 인프라를 활용해 처리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와 함께 자체 재활용이 가능한 자치구와 화학기업, 업사이클링(새활용) 업체 간 1대1 매칭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는 폐현수막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간과의 협력을 통해 순환경제 생태계를 확장하기 위한 조치다. 권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관리와 관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폐현수막을 100% 물질 재활용해 순환경제 실현의 핵심 자원으로 탈바꿈시킬 것”이라며 “생활 속 재활용할 수 있는 폐자원 분야를 확대해 지속 가능한 자원순환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