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일자리, 재정 등 여러 면에서 열악하다. 인구가 계속 줄어 소멸 위기에 몰린 곳도 있다. 수도권 집중화가 국가적 재앙을 부른다는 섬뜩한 말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그래서 지방은 ‘살기 위해’ 더 이를 악물고 노력한다. 각 지방자치단체가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동아일보는 기획보도를 통해 부산시와 울산시, 경남도가 어떻게 도시의 품질을 높여 가는지, 미래로 도약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펼치고 있는지 들여다본다.》
AI 등 신산업 육성, 스마트 도시로
부산
부산시는 매주 금·토·일요일 수영강에서 ‘별바다 부산 리버 디너 크루즈’를 정기 운항한다. 요트를 타고 식사를 하면서 광안대교 등 부산 대표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제2 도시’로서의 위상을 서서히 되찾고 있다. 시는 최근 영국의 글로벌 컨설팅 기관 지옌(Z/YEN)이 발표한 제11회 ‘스마트센터지수(SCI)’에서 전 세계 76개 도시 가운데 12위를 기록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9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다. 서울은 이번 평가에서 33위에 머물렀다. SCI는 첨단기술, 금융 서비스, 인적자원 등 6개 항목 등을 중심으로 각종 통계 지표와 전문가 설문 결과를 종합해 평가한다. 시는 2021년 해당 평가에 처음 진입한 이후 매번 순위가 올랐다.
이를 위해 시는 3월 미래기술전략국을 신설해 연구개발(R&D)과 인공지능(AI),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등 미래 신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또 부산 AI 실증센터와 양자과학기술센터 등을 운영하고 가상모형(디지털 트윈) 시범구역과 딥테크 산업 클라우드 생태계를 조성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로도 우뚝 서고 있다. 국제아동권리 비정부기구(NGO)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가 공동으로 실시한 ‘2024 한국아동의 삶의 질’ 연구에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위로 선정됐다. 아동 삶의 질 지수는 건강, 주관적 행복감, 위험과 안전, 교육 환경 등 8개 영역에서 43개 지표를 합산해 산출한다.
2020년 2815억 원에 불과했던 기업 투자 유치 실적은 매년 성장을 거듭해 지난해 사상 최대인 6조3209억 원을 기록했다. 시민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처음 체육국을 신설하고 ‘생활체육 천국도시’를 선포하기도 했다. 체육시설 등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전문가 양성 등을 위해 2026년까지 약 2230억 원을 투입한다.
생태-정원도시로 세계에 각인 목표
울산
울산시가 문화·관광·체육 산업 도시로 도약하기 위해 굵직한 사업들을 추진한다. 사진은 울산시가 5800억 원을 들여 추진하는 ‘학성공원 물길 복원 사업’ 구상도. 울산시 제공울산시는 생활 인구 200만 명 시대를 열기 위해 문화·관광·체육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인구 감소 현상을 딛고 지속가능한 ‘꿈의 도시’로 뻗어 나가기 위해서다. 미래 먹거리의 스펙트럼을 넓히면서 지역 경제의 체질까지 강화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대표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추진 중인 ‘반구천의 암각화’ 일대를 한반도 선사문화의 성지로 만들 계획이다. 암각화가 울산의 경제·관광·문화 전반에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내는 방안도 설계 중이다.
‘2028 울산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개최에도 행정력을 쏟는다. 대한민국 근대화를 이끈 공업도시에서 시민들의 노력으로 생태·정원도시로 거듭난 울산을 세계에 알릴 절호의 기회로 보고 있다. 관람객 1300만 명이 목표로 3조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만4000개의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태화루 하늘 산책로와 학성공원 물길 복원 사업, 울산정원지원센터 등을 추진해 울산을 문화와 자연이 공존하는 도시로 만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여기에 세계적 공연장과 케이팝 사관학교를 건립하고 다목적 복합공간인 종하이노베이션센터를 문화 거점 공간으로 강화한다. 강동 관광단지, 영남알프스 관광단지 등 새로운 관광명소 개발도 계속 추진한다.
울산구치소를 이전한 뒤 해당 부지를 울산체육공원과 연계한 글로벌 스포츠 파크로 조성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카누슬라럼센터, 공공 골프장, 문수야구장 유스호스텔, 여천매립장 파크골프장, 세계궁도센터 등 스포츠 기반을 대폭 확충한다. 100만 명이 함께 즐기는 공업축제를 비롯해 장미축제, 고래축제, 쇠부리축제, 옹기축제 등 사계절 풍성하고 내실 있는 축제를 선보여 생활 인구를 늘린다는 포부다.
체감형 ‘복지-동행-희망’ 정책 집중
경남
지난해 12월 경남 밀양시 가곡동에서 박완수 경남도지사(오른쪽에서 두번째)를 비롯한 경남도 관계자들과 자원봉사 단체 회원들이 연탄 나눔 봉사를 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경남도는 민선 8기 후반기 도정 운영 역량을 ‘복지, 동행, 희망’에 맞춰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도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는 데 속도를 내겠다는 포부다.
‘경남동행론’이 대표적인 정책이다. 도민들의 절실한 목소리를 반영해 설계된 전국 최초의 공공 소액 생계대출로 소득 3500만 원 이하, 신용평점 하위 20% 도민이 최대 150만 원까지 생활자금을 빌릴 수 있는 제도다. 소득 증빙 없이 프리랜서, 주부, 학생 등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월세, 병원비, 공과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연 7∼9%의 낮은 금리로 설계됐다. 특히 대출에 그치지 않고 취업·복지 연계, 재무 상담 등 1대1 컨설팅을 통해 성실 상환을 지원하고 비대면 모바일 신청으로 48시간 내 지원을 원칙으로 운영된다. 경남도는 시행 과정에서 일정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금융 취약계층의 삶을 지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복지 분야에서는 ‘경남도민연금’을 준비하고 있다. 현행 제도상 근로자의 법정 퇴직 연령은 만 60세이지만 국민연금 수급은 태어난 연도에 따라 61∼65세 사이에 시작된다. 은퇴 후 소득이 끊기는 ‘소득공백기’ 불안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 위해 경남도 차원에서 마련한 제도다. 도민 스스로 안정적으로 노후를 준비할 수 있도록 도에서 직접 금융기관과 협력해 개인형 퇴직연금(IRP) 상품을 활용한 지원 방식을 구상하고 있다. 주민들이 꾸준히 납입하면 도가 추가로 일정 금액을 보조하는 방식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