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활동-진로설계 돕는 사업
1인당 최대 480만원까지 지원
청각장애인 이모 양(17)은 최근 바리스타와 제빵사 진로 체험에 참여한 뒤 ‘홈카페’ 자격증을 취득했다. 서울시의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인 지역사회 동참활동 지원사업’을 통해서다. 현재 이 양은 바리스타 2급과 제빵사 자격증 취득을 준비 중이며, 장차 자신만의 카페를 열겠다는 꿈을 키워가고 있다.
서울시는 22일 이 양처럼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이 지역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이 사업의 1인당 지원금을 기존보다 두 배 늘린다고 밝혔다. 올해부터는 최대 480만 원까지 지원된다.
이 사업은 거주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이 자율적으로 사회활동을 계획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금을 제공하는 맞춤형 자립 지원 프로그램이다. 지난해에는 24개 시설, 218명에게 1인당 최대 240만 원을 지원했다. 예산은 주로 사회활동(47.9%), 교육(26.6%), 취·창업 활동(23.4%), 건강관리(2.1%) 등에 사용됐다.
올해는 총예산 3억8700만 원 규모로 △사회생활 △경제활동 △교육 △의사소통·관계 개선 등 네 분야에 걸쳐 자립 활동을 지원한다. 지원 인원은 소폭 줄이되, 개인별 지원금은 대폭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장애인은 다음 달 4일까지 시설 담당자와 함께 ‘개별 지원 서비스 계획서’를 작성해 서울시 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 제출해야 한다. 이후 전문가 심의위원회가 계획서를 심사해 최종 대상자와 지원 금액을 결정한다.
지원금은 사회 활동과 관련 없는 단순 소비나 도박·술·담배 등 부적절한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다. 서울시는 2028년까지 시범사업을 운영한 뒤 성과를 바탕으로 본격 확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홍우석 서울시 장애인복지과장은 “장애인이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계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적”이라며 “장애인들이 사회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지역사회 내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실질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정책을 실현할 것”이라고 했다.
송진호 기자 jino@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