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괜찮은 줄 알았는데”…작년 비 내린 날 이틀 빼고 ‘산성비’

  • 뉴스1
  • 입력 2025년 6월 25일 12시 39분


코멘트

강수일수 150일 중 148일 pH 5,6 미만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송악산 인근에 바가 내리고 있다. 2025.6.12 뉴스1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송악산 인근에 바가 내리고 있다. 2025.6.12 뉴스1
지난해 제주에서 내린 비 대부분이 산성비인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제주도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제주시 연동도시대기측정소의 산성우(산성비) 자동측정장비를 통해 관측한 강수일수는 150일로, 이 중 pH(수소이온농도) 5.6 미만의 산성비로 측정된 일수는 148일(98.7%)로 조사됐다.

조사기간 제주지역 총강수량은 1280.1㎜로, 연간 평균 pH는 4.5로 파악됐다.

산성비는 황산과 질산 등 강한 산성 물질을 흡수하고 내리는 비를 말한다. pH 즉 수소이온농도 7보다 낮으면 산성, 높으면 염기성으로 구분한다.

우리나라에서는 pH 5.6 미만일 때 산성비로 분류한다.

산성비의 가장 큰 원인은 황산화물과 질소 산화물이다. 황산화물은 주로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고, 질소 산화물은 자동차 매연으로 인해 발생한다.

산성비를 맞으면 각종 피부염이나 천식 등 질병을 유발하고 심지어 위암 발생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수중 미생물에 영향을 줘 생태계를 위협하고 토양 산도를 높여 식물이나 농작물 생장에도 좋지 않다.

제주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제주지역 산성비의 원인을 대기오염의 장거리 이동과 함께 도내 인구와 자동차, 산업발달로 인한 배출가스가 늘면서 제주의 대기질이 악화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제주=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