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앞바다에서 심해어 돗돔이 잇따라 포획되며 일본 지진 전조설이 제기됐지만,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선을 그었다. (ⓒ뉴시스)
부산 인근 바다에서 심해어 ‘돗돔’이 잇따라 잡히면서, 일본 대지진 전조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24일 KNN에 따르면, 전날 부산 대한해협에서 초대형 돗돔이 포획됐다. 올해 들어 같은 해역에서만 다섯 번째다.
이날 낚시꾼 두 명은 10여 분간의 사투 끝에 길이 170cm, 무게 100kg에 달하는 돗돔을 끌어올렸다.
돗돔은 수심 400m 이상의 심해에서 서식하는 희귀 어종으로, 연간 30마리도 잡히기 어려운 ‘전설의 물고기’라 알려져 있다.
올해 부산 해역에서만 5마리가 연이어 포획되자, 이례적인 현상이라는 견해가 나왔다. 돗돔을 낚은 김광효 선장은 “10년 넘게 찾아다녔지만, 올해처럼 많이 잡힌 적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최근 돗돔의 잦은 출현을 “7월 일본 대지진의 전조 현상 아니냐”는 주장도 제기했다. 실제로 최근 3일간 일본 해역에서 약 300건의 지진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에 전문가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입장이다.
박정호 국립수산과학원 연구관은 “돗돔과 지진의 연관성은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없다”며 “심해어가 자주 포획된다고 해서 지진의 징후로 단정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김영석 부경대 환경지질학과 교수도 “난카이 지진은 평균 100~150년 주기로 발생한다. 현재는 7080년밖에 지나지 않았다”며 “재발 가능성은 있으나 시기가 임박했다고 보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