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형 퇴직연금 수익률 4%대 그쳐…금감원, 운용관행 개선 촉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27일 14시 15분


코멘트
ⓒ 뉴스1
ⓒ 뉴스1

퇴직연금 적립금이 430조 원을 돌파한 가운데,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의 낮은 수익률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은 2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42개 퇴직연금사업자를 대상으로 ‘DB형 수익률 제고 간담회’를 열고, 실적배당형 투자 확대 등 운용 관행 개선을 주문했다.

DB형 퇴직연금은 퇴직 시점에 확정된 급여를 지급하는 구조로, 적립금의 수익률이 근로자 수령액에 직접 영향을 주진 않지만, 기업이 부담해야 할 적립금 수준에는 큰 차이를 만든다. 2024년 말 기준 DB형 퇴직연금 적립금은 214조6000억 원으로 전체 퇴직연금 적립금(431조7000억 원)의 절반에 달한다. 그러나 DB형의 연간 수익률은 4.04%에 그쳐 확정기여형(DC형) 평균 수익률 5.18%과 개인형IRP의 평균 수익률 5.86%보다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이 같은 저조한 수익률의 배경에는 ‘보수적 운용’이 자리하고 있다. 실제로 DB 제도를 운영 중인 42개 퇴직연금사업자 가운데 88.1%인 37개사가 자사 DB 적립금의 90% 이상을 원리금보장형 상품에 투자하고 있었다. 이들 기관의 자체 수익률도 평균 4.37%로 DB 전체 평균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운용 전문성이 떨어지는 기업 내부 담당자와 리스크를 회피하려는 경영진의 태도 역시 구조적 원인으로 꼽힌다. 고용부는 “근로자 수급과 기업 재무 부담 모두를 고려할 때 DB형 퇴직연금 수익률 제고는 중장기적으로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자산운용 사례도 공유됐다. 한국투자증권은 자사 DB 적립금의 70%를 실적배당형 상품에 분산 투자해 최근 6년간 업계 평균 대비 2.5%포인트 이상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사는 자산운용과 리스크관리 부서장을 적립금운용위원으로 참여시키고, 사내 전문부서를 자문조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퇴직연금사업자로서 고객들에게 기업의 퇴직부채 증가 추이 분석을 바탕으로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동종 업계의 투자 현황과 성과를 비교해 제공하는 등 맞춤형 운용 전략을 자문한 사례를 소개했다.

서재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퇴직연금사업자 스스로 자사 DB 적립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하는 ‘솔선수범’이 필요하다”며 “사용자에게도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는 등 ‘기업의 금융멘토’ 역할을 다해달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간담회를 시작으로 하반기에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DB형 퇴직연금 운용 간담회도 열 계획이다.
#퇴직연금#금융감독원#고용노동부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