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1만 소상공인에 임차료 60만원 지원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6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대전시, 맞춤형 지원책 확대 시행
“인건비-통신비 등 고정비 4종 지원”
상반기 초저금리 자금 4580억 공급
지역화폐 활성화 방안 마련 계획도

내수 경기 부진으로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29일 대전 서구 둔산동에 있는 상점 골목에 임대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태영 기자 live@donga.com
내수 경기 부진으로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29일 대전 서구 둔산동에 있는 상점 골목에 임대 현수막이 걸려 있다. 김태영 기자 live@donga.com
대전시는 내수 경기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지원 정책을 확대 시행한다고 2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동안 경기 침체와 고금리,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복합적 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해 초저금리 특별자금 4580억 원을 1만4675개 업체에 공급했고, 경영 회복 지원금 50만 원씩을 5만4417개 업체에 지급했다. 경영 회복 지원금은 제1차 원포인트 추경을 통해 신속히 예산을 확보하고, 신청 서류를 3종으로 간소화해 신청 후 1주일 내 순차 지급을 완료했다.

이번 금융 지원은 현장의 수요를 반영해 시행됐다. 대전신용보증재단의 보증 공급 실적은 1분기 기준 전국 15개 재단 중 서울과 경기를 제외하고 1위를 기록했다. 순 사고율도 3.72%로 전국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대전시는 하반기(7∼12월)에도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줄이고 소비 활성화를 유도하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임차료, 인건비, 카드결제 통신비, 배달비 등 ‘고정비 4종’을 지원한다.

임차료는 지난해보다 2배 늘어난 3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연간 총 1만 개소에 업체당 최대 60만 원을 지원하며, 인건비는 연 매출 및 고용 인원 기준을 폐지해 대상자를 확대했다.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카드결제 통신비 지원은 7월부터 시행된다. 약 8000개에 업체당 최대 11만 원이 지급된다. 전통시장과 상점가에는 배달비를 업체당 월 최대 10만 원까지 지원하고, 7개 전통시장에는 무상 배송 차량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시는 7월부터 지역화폐인 ‘대전사랑카드’를 원래 계획보다 한 달 앞당겨 운영한다. 30만 원이었던 월 구매 한도는 50만 원으로 늘렸고 사용한 금액의 7%를 적립해 준다. 예를 들어 50만 원을 모두 쓰면 3만5000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연 매출 30억 원 이하의 대전 지역 가맹점에서 쓸 수 있다. 백화점과 대형마트 유흥업소 등 일부 업종은 쓸 수 없다.

시는 정부의 제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지역화폐 국비 지원 예산 52억 원을 확보했고, 약 130억 원 규모의 지방비도 추가 편성 중이다. 또한 정부 제2차 추경에 포함된 지역화폐 국비 지원 6000억 원과 연계해 시 차원의 대응 재원을 확보하고 대전사랑카드 활성화 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상반기에는 사상 최대 규모의 금융 지원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냈다”며 “하반기에는 고정비 경감과 소비 진작에 집중해 민생경제의 온기를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지원#대전시 정책#경기 침체#초저금리 특별자금#경영 회복 지원금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