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거점국립대-사립대 동반성장 유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달 30일 첫 출근길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이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하고 사교육 및 입시 경쟁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이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한국교육시설안전원 앞에서 “대통령이 지방 출신인 저를 지명한 것은 교육을 통해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하라는 뜻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거점 국립대에 투자해 서울대만큼 키우자는 공약에 지방 사립대가 반발할 수 있다는 질문에 대해 이 후보자는 “서울대 10개 만들기는 거점 국립대뿐 아니라 지역에 있는 사립대와 동반 성장하는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학령인구 급감에도 사교육 시장이 커지는 것과 관련해 “입시 경쟁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이 서울대 10개 만들기”라며 “지역에 우수한 명문대를 두면 지역 학생이 사교육을 받아 가며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몰리는 문제가 많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대학 등록금 인상과 관련한 질문에 이 후보자는 “총장 때 대학 재정 위기를 겪었다”면서도 “학생들의 재정 상황을 고려해 등록금 인상 제한 원칙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재정이 어려운 것을 방치할 수만은 없는데 이를 등록금 인상으로 해결할지, 다른 방법이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육부 장관 지명 이후 이 후보자에 관한 관심은 교육 정책뿐 아니라 정책 추진 스타일에도 쏠리고 있다. 한 전직 거점 국립대 총장은 “(이 후보자가 충남대) 국제교류본부장을 했는데, 호방하고 호탕했다”고 회고했다.
이 후보자는 교수, 교직원에 조교, 학생에게까지 투표권이 주어진 2019년 충남대 첫 직선 총장 선거에서 총장으로 선출됐다. 결선 투표에서 절반이 넘는 52%가량을 득표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 문재인 대통령 제청을 받았다.
일각에서는 총장 시절 일부와 마찰이 있었다며 불통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 한 수도권 대학 총장은 “서울대 10개 만들기에 대한 다른 대학 반발도 있는데 이를 추진할 적임자로 평가받은 것 아니냐”고 말했다. 충남대 총장 시절 교육부 글로컬 대학 사업에 지원하기 위해 대전의 또 다른 국립대인 한밭대와 통합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학생회와 교수들은 불통을 지적하기도 했다. 당시 충남대 학내 반발이 심해 충남대-한밭대 통합은 결국 무산됐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후보자가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 제안자로 알려져 있는데 이번 대선 이전에도 민주당 내부에서 나왔던 얘기”라며 “장관 후보로 잘 거론되지 않았던 인물이라 의외라는 반응도 있다”고 전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김민지 기자 minji@donga.com
김소영 기자 ksy@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