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첫 강제수사는 삼부토건…먼저 준비되고, 국민 관심 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3일 15시 26분


코멘트

삼부토건-DYD 등 13곳 압수수색
우크라 재건 참여 루머로 주가 조작 의혹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압수수색을 위해 3일 서울시내에 위치한 삼부토건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2025.07.03. 뉴시스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압수수색을 위해 3일 서울시내에 위치한 삼부토건 사무실로 들어가고 있다. 2025.07.03. 뉴시스
‘김건희 여사’ 특별수사팀이 3일 삼부토건 회사 및 피의자 주거지 등 13곳을 압수수색했다.

문홍주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특검법 2조 1호에 규정된 주식회사 삼부토건 사건과 관련해 삼부토건, DYD 등 회사 6곳과 관련 피의자 주거지 7곳 등 총 13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건 죄명은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라며 “특검법이 정하는 여러 수사 대상 중 처음으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고 했다.

특검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고발한) 피고발인들 위주로 수사가 진행되고 있다”면서도 “인적·물적 대상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첫 강제수사로 삼부토건을 압수수색한 것에 대해 “가장 먼저 준비된 것, 그 다음에 국민적 관심사가 가장 큰 사건이 주요한 기준”이라고 밝혔다.

특검 관계자는 삼부토건이 압수수색 사흘 전 본사 주소지를 서울시 중구에서 종로구로 옮긴 데 대해 “이전 주소와 현 주소를 같이 압수수색했다”며 “그런 상황을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고, 증거인멸 정황이 나오면 당연히 수사 대상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압수물 분석 과정 중에도 영장에 적시된 혐의자들에 대한 소환조사는 이뤄질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압수물 분석이 끝난뒤에 이뤄져야 한다”면서 “급한 상황이거나 이런 경우면 소환조사 하겠지만 기본적 수사의 스토리는 그렇다”고 했다. 소환 예상 시점에 대해선 “최대한 빨리하겠다고만 말씀드린다”며 말을 아꼈다.

삼부토건 주가조작 사건은 2023년 5, 6월 삼부토건 관계자들이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착수한 것처럼 조작해 주가를 끌어올려 수백억 원의 부당 이득을 취했다는 의혹이다.

김 여사의 계좌 관리인으로 알려진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주가 급등 직전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올린 사실이 드러나고, 해당 시기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부부와 재건 사업을 논의했던 시기와 겹친다는 주장이 나오면서 김 여사가 주가조작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삼부토건#압수수색#자본시장법#특검법#금융당국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