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앱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 하나로 합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9일 03시 00분


코멘트

증명서 발급-회원증 기능 통합
복지 안내도 강화해 10월 출시

서울시 공공 애플리케이션 ‘서울지갑’(전자증명서)과 ‘서울시민카드’(공공시설 회원증)가 하나로 통합된다.

서울시는 10월 말부터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를 통합한 새로운 앱을 본격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서울지갑’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34종의 전자증명서 발급과 청년월세 등 복지서비스 신청 자격 확인이 가능한 앱이다. 청년수당, 대중교통비 지원, 이사비 지원 등 27종의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제공한다. 누적 가입자는 15만 명에 달한다.

‘서울시민카드’는 시립·구립도서관, 체육시설, 청소년센터, 장난감도서관 등 서울 시내 837개 공공시설의 모바일 회원증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34만 명이 이용 중이다.

서울시는 이번 통합 앱이 단순히 기능을 합친 것을 넘어 시민에게 필요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쌍방향 플랫폼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통합 앱에는 ‘나의 서울+’라는 개인 맞춤형 혜택 안내 기능이 추가된다. 청소년, 중장년, 임산부, 다자녀가족 등 사용자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만 입력하면 생애주기별로 필요한 정보를 자동 안내받고 각종 혜택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등학생에게는 서울장학재단의 장학금 정보를, 청년에게는 청년월세나 청년문화패스 혜택 등을 자동 안내하는 방식이다. 회원 가입과 인증도 간소화된다. QR코드 스캔만으로 홈페이지 로그인과 서비스 인증이 가능해져 접근성이 높아진다.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확대해 각종 정보의 불법 위·변조 방지 기능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는 10월 통합 앱 출시에 앞서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 이용자 데이터 이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서울지갑 이용자는 간편번호만 재설정하면 통합 앱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서울시민카드 이용자는 올해 12월까지 정보 이관에 동의해야 기존 혜택을 유지할 수 있다. 서울시는 통합 앱 명칭 공모를 9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시 엠보팅에서 진행한다. 우수 제안자 100명에게는 커피 쿠폰이 제공된다.

#서울지갑#서울시민카드#통합앱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