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 산수동 친환경자원순환센터에 설치된 AI 종량제 배출함이 가동 중인 모습. 광주 동구 제공.
“오직 종량제 봉투에만 열립니다.”
신성심 광주 동구 청소행정팀장(55)은 9일 인공지능(AI) 종량제 배출함의 작동 방식을 이렇게 설명했다. 현재 AI 종량제 배출함 2대는 동구 산수동 친환경자원순환센터에 설치돼 있으며, 20리터 종량제 봉투 30개를 보관할 수 있다.
배출함에는 폐쇄회로(CC)TV가 설치돼 주변의 불법 투기를 감시하고, 태양광 보안등이 부착돼 어두운 골목길을 환하게 비춘다. 신 팀장은 “AI 배출함은 광주 동구 종량제 봉투 이미지를 수천 장 학습했다”며 “지정된 봉투를 인식해야만 투입구가 열리도록 설계돼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 동구가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 ‘AI 적용 서비스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서비스 AI 리더상’을 수상했다. 광주 동구 제공.동구가 AI 종량제 배출함을 개발하게 된 계기는 골목길이나 도로변에 종량제 봉투가 무질서하게 쌓여 민원이 발생하고 도시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반복됐기 때문이다. 동구는 자체적으로 배출함을 개발해 특허 출원 절차를 밟고 있다. 민간기업과 협력해 경량화, 제작 단가 절감, 디자인 개선 등도 추진한다. 향후 상용화를 위한 새로운 제품도 개발 중이다.
또한 동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소차 도착 정보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 서비스는 버스 도착정보 시스템(BIS)처럼 청소차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시민들이 적절한 시간에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내 집 앞 쓰레기 배출 시스템’의 안정화에 기여하며, 전국적인 확산 가능성도 기대되고 있다.
동구는 이런 노력 덕분에 한국표준협회 주관으로 열린 AI 적용 서비스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서비스 AI 리더상을 수상했다. 공모전에는 6개 기업이 선정됐는데 지자체는 동구가 유일하다. 임택 광주 동구청장은 “AI 등 시대적인 변화와 흐름에 함께하며 주민의 생활에 편리함을 더할 수 있는 정책을 고민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