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계획도시 정비 계획안 발표
시, 용적률 350~360%로 완화
15분 도시-스마트 모빌리티 목표
연말까지 ‘선도지구’ 최종 선정
1997년 부산의 첫 계획 신도시로 조성된 해운대구 그린시티 일대. 부산시는 이곳 공동주택 3200가구와 북구 화명·금곡지구 2500가구를 대상으로 노후 계획도시 정비 첫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운대구 제공
부산 지역 노후 도시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 첫발을 뗐다.
부산시는 ‘화명·금곡지구 및 해운대 1·2지구의 노후 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선도지구 공모’를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세부 공급 규모는 화명·금곡지구 2500가구, 해운대 1·2지구 3200가구다. 시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해당 구역 인근의 이주 수요와 주택 공급량 등을 분석해 물량을 결정했다. 노후 계획도시 정비사업은 일반 재건축보다 대상지 면적이 훨씬 넓고, 단순한 주거 환경 개선을 넘어 오래된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지역의 공간 구조를 전면 개조하는 사업이다. 시 관계자는 “정비 추진 과정에서는 안정적인 이주를 지원하기 위해 주택 수급 관리를 면밀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1995년부터 2002년 사이 조성된 화명·금곡지구(2.71km²)는 ‘지역 특화 거점 육성’, ‘15분 도시 실현’, ‘그린-블루 네트워크 구축’, ‘미래 녹색 교통도시 구현’을 정비 목표로 삼았다. 개발 슬로건은 ‘숲과 강을 품은 휴메인 도시, 화명·금곡’이다.
노후 계획도시의 기반시설 여건과 수용 가능한 인구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준 용적률은 평균 350%로 정했다. 이는 현재 평균 용적률(234%)보다 크게 상향된 수치로, 사업성 확보를 위한 조치다.
해운대 1·2지구 정비사업은 ‘해운대 그린시티, 주민과 함께 새로운 미래 도시를 열다’를 주제로 추진된다. 기준 용적률은 360%로 책정됐으며, 현재 평균 용적률인 250%보다 높다. 공간 구조 개선 계획에는 ‘지속 가능한 융복합 도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등이 담겼다. 택지 개발 방식으로 1997년 준공된 해당 지구의 면적은 3.05km²다.
시는 앞서 4월 ‘노후계획도시 정비·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됨에 따라 △해운대 1·2 △화명·금곡 △다대 일대 △만덕 △모라를 정비 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가운데 1단계 대상지인 해운대 1·2와 화명·금곡에 대해 국토부, 국토연구원 등 관계 기관에 자문을 해 기본계획안을 수립했다.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먼저 기본계획안이 나온 사례다.
시는 주민 열람과 함께 선도지구 선정 절차를 거쳐 12월 최종 선도지구를 선정할 예정이다. 주민 참여도(동의율), 정비 시급성, 사업 추진의 파급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한다는 방침이다.
2단계 노후 계획도시 정비 대상지인 다대, 만덕, 모라, 개금·당감 지구에 대해서도 이달 중 기본계획안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운영해 기본계획 수립 과정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강화하고, ‘찾아가는 미래도시지원센터’를 운영해 주민 의견도 적극 수렴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강과 산, 바다 등 부산의 자연환경과 신도시 기능을 함께 고려한 새로운 개발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