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싼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위법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역대 정부에서 교육부 장관 또는 후보자가 낙마한 사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노무현 정부 이후 교육부 장관(후보자) 중 사퇴하거나 지명이 철회된 인사는 5명에 달한다. 진보-보수 정부를 가리지 않고 교육부 장관과 후보자가 ‘논문과 자녀 리스크’로 줄줄이 낙마하는 현실은 국내 교육계의 어두운 민낯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교수 출신이 여럿 임명돼 온 특성상 논문 관련 논란이 단골 낙마 사유였다. 윤석열 정부에서 박순애 전 장관은 논문 중복 게재 의혹으로 비판을 받다가 취임 직후 ‘만 5세 초등학교 입학’ 방침으로 논란을 빚으면서 취임 34일 만에 사퇴했다. 노무현 정부 당시 김병준 전 장관은 논문 표절 논란으로 취임 12일 만에 사퇴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김명수 전 후보자도 제자가 쓴 논문을 자신의 연구 결과인 것처럼 학술지에 게재했다는 의혹을 받고 후보자 지명 32일 만에 지명 철회됐다.
매번 반복되는 ‘논문 리스크’는 지금까지 국내 학계에서 관행으로 포장된 고질적 문제를 보여준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카피킬러 같은 표절 검사 프로그램이 없었던 20~30년 전부터 활동해 온 인사 중 논문 표절 논란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교육부 장관은 후보자를 찾기도 어렵고, 제안해도 고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학자에게 연구 윤리와 도덕성은 자질과 직결되는 만큼 교육 수장에게는 가볍게 다뤄질 수 없는 문제다. 양정호 성균관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부 장관은 학생과 학부모가 지켜보고 있는 만큼 도덕성에 민감한 반응이 나올 수 밖에 없다“며 “도덕성에 흠이 있는 사람이 교육 정책을 이끌면 영이 서겠나”라고 말했다.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교육 전반을 아우르는 부처라 국민적 감시가 광범위하게 작동하고 자녀 문제에서도 타 부처 장관보다 더 높은 윤리 기준이 요구된다. 노무현 정부에서 이기준 전 장관은 장남 이중 국적 논란 등으로 취임 이틀 만에 사퇴했다. 윤석열 정부 당시 김인철 후보자는 본인과 아내, 두 자녀까지 가족 모두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한국 풀브라이트 동문회장을 맡았던 김 후보자의 ‘아빠 찬스’ 논란으로 후보자 지명 20일 만에 사퇴했다. 이진숙 후보자 측에서 둘째 딸 위법 유학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논란과 달리 빠르게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것으로 송구스럽다”고 사과한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댓글 0